한국은행 13년만에 금 보유량 늘려

한국은행 13년만에 금 보유량 늘려

입력 2011-08-02 00:00
업데이트 2011-08-02 07: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환보유액 3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 경신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이 13년만에 금 보유량을 늘렸다.

2일 한은에 따르면 외환보유액 중 금 보유량은 전월 14.4t에서 지난달 말 기준 39.4t으로 약 한달간 25t 늘어났다.

금 보유액은 원가 기준 전월 8천만달러에서 지난달 말 현재 13억2천만달러로 12억4천만달러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0.03%에서 0.4%로 급등했다. 싯가 기준으로는 0.2%에서 0.7%로 늘어났다.

한은이 금을 사들인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4월 이후 처음이다.

한은 외자운용원 운용전략팀 서봉국 팀장은 “외환보유액이 3천억달러를 넘어섰고,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국내 시장은 비교적 안정을 유지하는 등 금 보유 여력이 개선됐다”며 13년 만에 금 보유액을 늘린 배경을 설명했다.

서 팀장은 또 “외화자산 운용 측면에서도 금 보유량 확대가 전체 외화자산 운용 시 리스크를 줄이고, 국제 금융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함과 동시에 외환보유 안전판으로서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천110억3천만달러로 전월 말보다 65억5천만달러 증가하면서 지난 4월 3천72억달러 이후 3개월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은 국제국 국제총괄팀 신재혁 과장은 “외환보유액은 엔화와 파운드화 등의 강세로 이들 통화표시자산의 미 달러화 환산액이 증가하고 보유외환 운용수익이 나면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7월 중 파운드화는 2.3%, 엔화는 4.7% 절상됐다. 반면 유로화는 0.8% 절하됐다.

외환보유액에서는 유가증권이 2천752억7천만달러(88.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예치금 286억7천만달러(9.2%),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35억9천만달러(1.2%), IMF포지션 21억7천만달러(0.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6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를 유지했다.

중국이 1위를 차지했고, 일본, 러시아, 대만, 브라질, 인도가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