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헌 회장 8주기..현대그룹 “시련 그만”

정몽헌 회장 8주기..현대그룹 “시련 그만”

입력 2011-08-03 00:00
업데이트 2011-08-03 0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일 선영ㆍ금강산서 추모행사…금강산 사업 재개 고대

현대그룹이 4일로 고(故) 정몽헌 전 회장의 8주기를 맞는다.

3일 현대그룹에 따르면 4일 경기 하남시 창우리에 있는 선영에서 고 정 전 회장의 부인인 현정은 회장과 계열사 사장단, 임직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행사를 한다.

장경작 현대아산 사장을 비롯한 현대아산 임직원 11명은 금강산을 방문해 정 전 회장의 추모비 앞에서 추모식을 할 예정이다.

고인이 세상을 뜨고 나서 만 8년간 현대그룹은 크고 작은 ‘시련’을 겪었다.

선친인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유지를 받들어 심혈을 기울였던 금강산 관광 사업은 3년 전 중단되고서는 그대로 멈춰 있다.

여러 사건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가던 현대아산의 대북사업은 2008년 7월11일 관광객 박왕자씨가 북한군이 쏜 총에 맞아 숨진 사건을 계기로 완전히 끊겨 재개되지 않는 상태다.

하루속히 관광이 재개되기를 손꼽아 기다리는 현대아산 등 그룹과의 바람과는 달리 상황이 여의치만은 않다.

2009년 8월 현 회장의 방북으로 사업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한껏 높아지기도 했지만 ‘금강산 관광의 문’은 쉽게 열리지 않았다.

오히려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남북관계는 더 얼어붙었다.

북한은 급기야 올해 4월 현대그룹이 가진 금강산 관광사업 독점권의 효력을 취소한다고 밝혔고, 이후 금강산 관광 기업에 ‘재산 정리’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금강산 관광은 남북관계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한 자체적으로 풀어나갈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현대 측의 고민은 깊어가고 있다.

금강산 사업이 중단되면서 현대아산의 피해도 갈수록 늘어 6월 말 기준으로 4천440억원에 달하는 매출 손실을 봤고, 직원 수도 수차례 구조조정으로 관광 중단 전(1천여명)과 비교해 70%가량 줄었다.

금강산 관광 사업의 피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올해 초 현대그룹의 모태나 다름없는 현대건설 인수에 ‘올인’하기도 했으나 이마저 무산되기도 했다.

현대그룹 대신 현대기아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하면서 ‘덤’으로 딸려온 현대상선 지분 문제를 놓고 두 그룹 간, 다시 말해 시숙인 정몽구 회장과 제수인 현 회장 간 갈등은 아직 깔끔하게 봉합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고인의 8주기는 현대그룹에 위기 극복의 의지를 다시 한 번 다지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추모식에는 고인의 맏형인 정몽구 회장 등 현대그룹을 제외한 범 현대가 인사들은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