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 매운 음식 잘나가는 까닭은

불경기에 매운 음식 잘나가는 까닭은

입력 2012-02-13 00:00
업데이트 2012-02-13 08: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경기를 맞아 매운맛 가공식품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이마트가 13일 상품 매출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지난 10일까지 매운 상품의 매출 비중이 순한 맛 제품보다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카레 PB(Private Brand) 상품의 경우 순한맛, 중간맛, 매운맛 매출 비율은 25대 35대 40이다. 작년 같은 기간 매출 비율인 30대 35대 35와 비교해 매운맛 비중이 커졌다.

매운맛을 4단계로 구분해 판매하는 이마트 고추장(PB 제품)은 같은 기간 가장 매운맛인 ‘무진장 매운 고추장’이 45.4%의 신장세를 보였다.

고추장은 2010년부터 매운맛의 정도를 구분해 판매하고 있다.

매운맛 중에서도 매운맛과 아주 매운맛, 무진장 매운맛의 매출 비율은 작년 동기에는 21대 31대 48이었으나 올해에는 4대 5대 91을 기록하며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과자류도 매운 새우깡과 양파링 매운맛, 떡볶이연구소(매운맛·무진장 매운맛) 등 매운맛을 강조한 상품 매출이 217.9%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새우깡은 전체 매출은 30% 신장했지만 매운 새우깡은 11배 이상 뛰었다.

매출 구성비를 봐도 일반 새우깡 대비 매운 새우깡 매출 비율은 작년에는 97대 3이었지만 올해는 70대 30으로 매운 새우깡 비중이 10배로 커졌다.

이마트 관계자는 “작년 초부터 매운 새우깡이 인기를 얻기 시작해 상품 진열을 강화해 매출이 큰 폭으로 뛰었다”고 설명했다.

매운맛이 인기를 끄는 것은 국민들이 불경기로 받은 스트레스를 풀려고 매운 음식을 찾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고추의 캡사이신이 혀에 통증을 주면 뇌에서 엔도르핀이 분비돼 매운맛이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마트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매운맛 매출이 증가하고 있어 조리 음식도 매운양념닭발구이, 매운족발 등을 선보이는 등 매운 음식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제조업 BSI는 78로 2009년 6월(77)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비제조업 BSI도 78로 전달보다 5포인트 떨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