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 사활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선점 사활

입력 2012-02-14 00:00
업데이트 2012-02-14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G화학·삼성SDI 이어 SK이노 합작사 설립

“수조원대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을 잡아라.”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2차 전지 생산업체들이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해외 자동차업체들이 앞다퉈 전기자동차 개발에 나서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현대모비스와 ‘HL그린파워’, 삼성SDI는 보쉬와 ‘SB리모티브’를 세웠고 최근 SK이노베이션도 독일 자동차부품회사인 콘티넨탈과 조인트벤처(합작회사·JV)를 세우기로 합의했다. 전지업체는 배터리 제어시스템과 자동차 장착 노하우 등을, 부품사는 배터리의 높은 기술적 장벽이나 특허 문제 등을 공유하거나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2015년까지 소형 2차 전지시장은 연평균 9% 정도 성장할 것으로 보이나 중대형 전지시장은 연평균 100% 이상 커지면서 수조원대 시장을 이룰 것”이라면서 “시장 선점을 위해 부품사와 합작법인은 물론 기술개발, 생산체계 구축 등에 나서고 있다.”고 했다.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회사는 LG화학. 2010년 2월 현대모비스와의 합작법인인 HL그린파워가 현대기아차의 쏘나타와 K5 하이브리드에 배터리 모듈을 납품하고 있다. 또 LG화학은 미국의 GM과 포드, 중국 제일기차와 장안기차, 유럽 르노와 볼보 등 10여개 자동차회사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등 자동차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앞서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 배터리 관련 부품의 모듈화가 절실하다.”면서 “배터리와 부품 회사가 서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합작 회사가 생겨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형 2차 전지를 주로 생산해 온 삼성SDI도 자동차 배터리 사업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SDI와 보쉬의 합작사 SB리모티브는 지난해 3월부터 울산 울주군 삼남면 공장에서 자동차용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인도의 자동차업체 마힌드라에 2013년부터 배터리팩을 공급하기로 하는 첫 수출계약을 맺었다. 삼성SDI 관계자는 “LG화학 합작법인보다 먼저 수출 계약을 성공, 글로벌 시장에서 앞서 갈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면서 “보쉬와 함께 전지제어 기술 개발로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최고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시했다.

SK이노베이션도 잰걸음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충남 서산 배터리 공장의 시험 가동을 마쳤고 올 초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또 지난달 초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회사인 콘티넨탈과 손잡고 본격적인 배터리팩 생산에 돌입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올 상반기 중 합작법인 탄생을 목표로 긴밀하게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2차 전지 분야에서 합작법인이 속속 출현하는 것에 대해 높은 기술 장벽을 낮추고 특허 등 복잡한 문제를 비교적 손쉽게 풀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합작법인이 성공하려면 해당 기업들이 지분비율과 의사소통 등 경영상 발생하는 문제들을 서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2-14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