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재벌총수 징역형 23년에 실형은 ‘제로’

10대 재벌총수 징역형 23년에 실형은 ‘제로’

입력 2012-02-14 00:00
업데이트 2012-02-14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두 집행유예…형 확정후 9개월만에 사면받아

10대 재벌 총수들은 1990년 이후 모두 23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집행유예로 인해 전혀 실형을 살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형이 확정된 지 평균 9개월 만에 사면받았다.

14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자산기준 10대 재벌 총수 가운데 7명이 총 22년6개월의 징역형 판결을 받았으나 모두 집행 유예에 해당됐다. 따라서 실형은 없었다.

지난해 전체 형사사건의 집행유예 비율은 25%에 머물렀다.

게다가 재벌총수들은 집행유예된 처벌마저도 예외 없이 사면받았다. 사면받기까지 걸린 시간은 285일로, 9개월에 불과했다.

재벌총수들은 횡령 및 배임이 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비자금 조성, 부당 내부거래, 외환관리법 위반, 폭력행위 등이 뒤를 이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사건으로 1996년 8월에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의 판결을 받았다. 김용철 변호사의 양심선언으로 배임ㆍ조세포탈이 드러나면서 2009년 8월에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이 회장은 각각 402일, 139일만에 사면받았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에게는 비자금을 조성해 횡령하고 계열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로 2008년 6월에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의 법원 판결이 내려졌다. 그리고 73일만에 사면됐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조5천억원대의 SK글로벌 분식회계로 2008년 5월에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고 78일만에 사면을 받았다.

LG그룹 구본무 회장과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은 불법 대선자금 사건으로 각각 조사를 받았으나 징역형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적은 없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2000년 6월에 횡령 및 배임으로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을 받았다.

김승연 한화회장은 1994년 1월 외환관리법 위반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007년 9월 폭력행위로 ‘징역 1년6개월, 집행유예 3년’의 판결을 받았다.

두산그룹 박용성 전 회장과 박용만 회장은 횡령 등으로 2006년 7월에 각각 ‘징역 3년과 집행유예 5년’, ‘징역 3년과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았다가 모두 사면됐다.

자산순위 10위권 밖의 재벌총수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은 1996년 8월 노태우 비자금사건으로 ‘징역 2년, 집행유예 4년’을, 2009년 배임으로 ‘징역 3년, 집행유예 4년’을 각각 선고받았다. 대림산업 이준용 명예회장에게도 1996년 8월 노태우 비자금사건으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의 유죄판결이 내려졌지만 사면됐다.

서울인베스트 박윤배 대표는 “아무리 재벌개혁을 위한 제도가 잘 돼 있다고 하더라도 제도를 위반했을 때 솜방망이 처벌을 한다면 소용없다. 제대로 처벌하면 재벌의 폐해가 크게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재벌총수들에 대한 검찰조사와 법원공판은 이어지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계열사 자금 수백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기소돼 내달 2일 첫 공판을 앞두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수천억원대의 횡령.배임 혐의로 기소돼 징역 9년에, 벌금 1천500억원을 구형받고 오는 23일 1심 선고를 앞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