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가계대출 규제 문답

제2금융권 가계대출 규제 문답

입력 2012-02-26 00:00
업데이트 2012-02-26 1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은보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26일 상호금융 조합의 3억원 이상 거치식ㆍ일시상환 대출이나 다중채무자 대출은 ‘고위험 대출’로 분류해 충당금을 더 쌓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년 안에 예대율(예수금에서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80% 이하로 낮추도록 대출 관리가 필요한 곳은 전체 2천500여개 조합의 14% 정도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정 국장과의 일문일답.

--상호금융 고위험 대출의 ‘일정규모’는 어떤 기준인가.

▲좀 더 협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잠정적으로는 은행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는 게 타당하다고 본다. 내부적으로 3억원 정도를 기준으로 삼으려고 한다.

--상호금융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 강화는 내년 6월까지 유예된 것 아닌가.

▲그때 기준이 갑자기 강화되기 전에 단계적ㆍ자율적으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제도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다.

--현재 예대율 상한선인 80%를 넘는 상호금융 조합은 몇 군데인가.

▲2천500여개 조합 가운데 14% 정도가 초과하고 있다.

--조합의 예대율 상한선을 80%로 뒀는데, 현재 평균 70%를 넘지 않아 규제 효과 가 없는 게 아닌가.

▲연착륙 추진도 중요한 정책적 목표다. 이번에 첫 단계로 (예대율이 80%를 넘는) 전체 조합의 14%에 대해 규제를 시작하면 어느 정도 부담을 주면서 추진하는 모습이 된다.

--상호금융은 감독ㆍ검사에 제약이 있지 않나.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가, 농협은 농림수산식품부가 책임지고 있다. 책임지는 부처와 긴밀히 협의했고, 검사ㆍ감독은 주로 각 중앙회가 하고 있다. 중앙회의 검사ㆍ감독권을 확대하고 검사 인력을 확충하기로 했다.

--보험사의 약관대출은 가계대출 규제에서 빠지나.

▲그렇다. 보험사의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보험사의 과도한 대출영업 억제라는 건 어떤 의미인가.

▲보험사 설계사가 보험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자사 대출알선은 못 하도록 할 예정이다. 보험사의 대출 전단지 배포도 과도하게 이뤄지지 않도록 하겠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대책에서 빠졌는데.

▲저축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10조원 정도다. 증가율은 높지만 규모 면에서 보면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저축은행은 구조조정과 업무 영역에 대한 재조정이 이뤄지는 단계라 이번 대책의 부담에서 제외했다. 가계대출의 동향을 보면서 필요하면 추가 대책을 검토할 수 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의 목표관리 수준이 있나.

▲기본적으로는 가계대출이 실물경제와 균형되게 관리되는(비슷하게 늘어나는) 게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숫자를 제시하는 건 총량 규제로 비칠 수 있어 어렵다.

--규제의 ‘풍선효과’로 대부업이나 사채시장이 커질 우려는 없나.

▲이번 규제는 신규대출에 대한 관리다. 또 단계적으로 적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영향은 당연히 있을 것이다. 이를 서민금융정책으로 흡수해 나가겠다.

--‘풍선효과’에 따른 대출수요를 서민금융 지원으로 흡수할 수 있나.

▲정책적 노력을 통해 서민금융에 대한 접근성을 최대한 높이고, 정책금융을 통해서 흡수하도록 노력하겠다.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25조원 늘리겠다고 했는데 문제없나.

▲25조원은 주요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얼마나 늘릴지 업무 계획을 잡은 것이다. 실제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금융시장과 경제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5조원은 전년 잔액 대비 5.6% 수준이다. 이 정도로 관리되면 높은 수준은 아니다.

--지난해 가계대출 구조개선 종합대책은 어느 정도 성과를 냈나.

▲작년 하반기에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18% 정도가 고정금리 대출로 나갔다. 정책은 전반적으로 순항하고 있다. (고정금리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중 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주택금융공사를 통한 유동화나 소득에 대한 인센티브를 차질없이 시행하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