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아동 인터넷중독률, 성인보다 높아”

“유아·아동 인터넷중독률, 성인보다 높아”

입력 2012-03-05 00:00
업데이트 2012-03-05 1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안부,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유아, 아동의 인터넷 중독률이 성인보다 더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가 5일 발표한 ‘2011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5~9세 아동의 인터넷 중독률은 7.9%로 만 20~49세 성인의 인터넷 중독률인 6.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작년 10~12월 만 5~49세 1천명을 대상으로 1대 1 대인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모든 연령대의 인터넷 중독률은 전년(8.0%) 조사 때보다 소폭 감소한 7.7%였다. 청소년(10~19세)의 인터넷 중독률은 10.4%로 전년 12.4%에 비해 2.0%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행안부는 중독자 중 정도가 심한 ‘고위험군’을 별도로 분류했다. 고등학생의 경우 중독률과 고위험군 비율이 12.4%, 4.1%를 각각 기록했다.

청소년층의 인터넷 중독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2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13.0%), 다문화 가정(14.2%), 한부모 가정(10.5%)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인(20~49세) 중에서는 20대의 중독률이 9.2%로 4.7%를 기록한 40대보다 2배 가량 높았으며 직업별로는 대학생(11.0%), 무직자(10.1%)의 중독률이 높은 편이었다.

전체 설문 대상자의 성별 중독률은 남성이 9.1%로 여성(6.1%)보다 높았으며 고위험군의 비율 역시 남성(2.2%)이 여성(1.2%)의 갑절에 육박했다.

중독률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9.2%로 가장 높았으며 대전(8.8%), 경기(8.7%) 순이었다. 반면 충남(4.6%), 광주(4.9%), 전남(5.3%), 강원(5.6%)은 낮은 편이었다.

스마트폰의 중독률은 8.4%로 인터넷 중독률(7.7%)보다 높은 편이었다. 특히, 인터넷 중독자의 25%가 스마트폰 중독이었으며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중 43.8%가 스마트폰 중독돼 있어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의 상관 관계가 컸다.

스마트폰 중독률을 연령별로 보면, 10대(11.4%)와 20대(10.4%)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응답자 중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자는 하루 평균 3.4회, 52.4분에 걸쳐 SNS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사용자의 10.1%는 스스로 ‘SNS를 과다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