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52% “한류 덕에 매출 늘었다”

기업 52% “한류 덕에 매출 늘었다”

입력 2012-03-07 00:00
업데이트 2012-03-07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상의, 서비스·제조업 300개사 조사

한류가 국가브랜드와 한국 제품의 호감도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의 매출 증대와 해외시장 개척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서비스·제조 분야 300개사를 조사한 결과 ‘한류 덕에 매출이 늘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51.9%였다고 7일 밝혔다.

한류의 매출증대 효과는 문화(86.7%), 관광(85.7%), 유통(75.0%) 등 서비스 업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식품(45.2%), 전자(43.3%), 화장품(35.5%), 자동차(28.1%), 의류(23.3%) 순으로 한류 효과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의 82.8%는 ‘한류 확산으로 한국과 한국 제품의 우호적 이미지가 높아졌다’고 답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때 한류 효과를 경험했느냐는 물음에는 기업의 43.5%가 ‘그렇다’고 답했다.

카라, 장근석 등 한류 스타나 한국 드라마 등의 한류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다는 기업은 5곳 중 1곳꼴(21.0%)로 나타났다. 이 중 89.1%는 ‘한류 마케팅 효과가 있었다’고 답했다.

지역별(복수응답)로는 일본(78.8%), 중국(72.7%), 동남아(53.0%), 유럽(14.6%), 미국(4.4%), 중동(2.2%) 순으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높다고 평가했다.

대한상의 박종남 조사2본부장은 “한류가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 내수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며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음식, 패션, 의료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하는 한편 저개발국에의 사회공헌 등을 통해 우호적 평판을 얻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