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KB금융, 우리금융과 합병 꺼리는 이유

[경제프리즘] KB금융, 우리금융과 합병 꺼리는 이유

입력 2012-05-03 00:00
업데이트 2012-05-03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빅2’ 합병시너지 의문’ 정부 경영간섭 가능성…인력 구조조정도 난관

우리금융지주의 1순위 인수후보로 거론되던 KB금융지주의 어윤대 회장이 지난 1일 “우리금융에 관심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이로써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우리금융 민영화가 세 차례 연속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물밑에서 우리금융 인수를 저울질해 온 KB금융이 회의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까닭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 전략적 판단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빅2’인 KB금융과 우리금융이 살림을 합치면 산술적으로 시장점유율이 커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두 지주사의 예금 및 대출시장 점유율을 합하면 각각 47.0%와 40.7%로 압도적인 1위이다. 하지만 대형은행 간 합병은 ‘1+1=2’의 시너지를 내기 어렵다. 2001년 11월 합병한 국민-주택은행의 사례만 봐도 그렇다. 구경회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금융팀장은 “2001년 9월 기준 국민-주택은행의 시장점유율은 대출 41.6%, 예금 38.0%였지만, 합병 3년 뒤인 2004년 말 기준 대출 29.1%, 예금 28.6%로 크게 하락했다.”면서 “합병 후유증인 내부 갈등 때문에 시장점유율을 지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의 경영 간섭도 KB금융으로서는 마뜩잖다. 우리금융과 주식교환 방식으로 합병하면 예금보험공사(정부)가 KB금융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정부 주식의 의결권 제한 등을 통해 자율 경영을 최대한 보장해 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내년에 정권까지 바뀌면 정부의 태도가 바뀌지 않겠느냐.”라면서 “KB금융의 외국인 주주들도 정부의 경영 개입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우리금융 합병 시나리오의 가장 큰 난관은 인력 구조조정이다. 대표 계열사인 은행만 비교해도 지난해 말 기준 국민은행 직원이 2만 1718명, 우리은행 직원이 1만 4951명으로 합계가 3만 6669명에 이른다. 국내 지점 수도 두 은행을 합치면 2102개로 중복 점포가 적지 않다. 금융권은 합병 효과를 기대하려면 최소 5년간 1만명 이상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지만 노조의 반발이 거세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5-03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