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못갚은 ‘불량대출자’ 연간 80만명 쏟아졌다

빚 못갚은 ‘불량대출자’ 연간 80만명 쏟아졌다

입력 2012-08-16 00:00
업데이트 2012-08-16 0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대출 부실이 주원인…1년새 불량률 2%P 상승

‘불량 대출자’가 최근 1년간 80만명 쏟아졌다. 소득이 적은 저신용층에서 급증해 10명 가운데 2명꼴이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는 가계대출자 1천667만6천명의 불량률이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4.78%라고 16일 밝혔다.

불량률은 최근 1년간 채무 불이행으로 은행연합회에 통보되거나 3개월 넘게 원리금 상환을 연체한 대출자 비율이다.

금융회사에 빚을 갚지 못하고 불량 대출자가 된 사람이 한 해에만 79만7천명 생겼다는 뜻이다.

주로 저소득자가 분포한 신용도 하위등급(7~10등급)은 불량률이 약 18%다. 고소득자 위주의 상위등급(1~3등급) 불량률이 1%를 밑도는 것과 대조된다.

하위등급의 대출 불량률은 지난해 3월 말 약 16%에 견줘 1년 만에 2%포인트 상승했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부문장은 “소득 1분위(하위 20%)는 저축률이 줄곧 마이너스다”며 “빚이 쌓이고 쌓여 채무 불이행으로 폭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소득층을 대거 불량 대출자로 몰아넣은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이다.

주택담보대출 불량률은 평균 2.49%다. 그러나 하위등급은 8등급(20.30%), 9등급(29.69%), 10등급(45.90%) 등으로 평균치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삼성경제연구소 김선빈 수석연구원은 “고용시장 경색과 자영업자 급증으로 저소득층이 여기저기서 빚을 냈다가 집값 하락의 ‘폭탄’을 맨 먼저 맞았다”고 지적했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지난달 대출자 6만2천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다중채무자(여러 금융회사에서 빚을 낸 대출자)의 30.6%는 자영업자로 파악됐다.

다중채무는 특히 5등급 이하 저신용층에 치명적이라고 자산관리공사는 설명했다.

소득이 받쳐주는 1~4등급은 ‘4중채무’까지 견딜 수 있지만, 5등급 이하는 여러 곳에서 대출할수록 신용도에 직접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가계대출 부실이 경기 변동보다 6개월가량 후행(後行)한다고 분석했다. 경기가 하강곡선을 그리는 만큼 앞으로 부실이 더 커질 수 있다는 뜻이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부실비율은 지난달 말 0.76%였다. 분기 말 기준으로 2006년 9월의 0.81% 이후 가장 높았다.

금감원 이기연 부원장보는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고 부동산 경기가 둔화한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 가계부실이 심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