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대비 수익률 연 6% 필요… 실제론 1%대 그쳐”

“노후 대비 수익률 연 6% 필요… 실제론 1%대 그쳐”

입력 2012-09-13 00:00
업데이트 2012-09-1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증권 고객 1만 5000명 조사

은퇴한 뒤 어느 정도 자신이 목표한 삶을 꾸려 가려면 자산을 굴려 1년에 평균 6% 이상의 수익을 얻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실제 수익률은 1%대였다. 현실과 이상의 커다란 ‘괴리’를 보여준다. 은행 정기예금 이자는 연 3%대다.

삼성증권이 올 들어 8월 말까지 자사 은퇴설계 시스템을 통해 컨설팅을 받은 고객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은퇴 목표 달성에 필요한 운용 수익률은 평균 연 6.44%로 나타났다. 조사 시점 당시 이들의 운용 수익률은 평균 1.58%였다. 목표의 4분의1에 불과하다.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고객도 18%나 됐다.

보유 중인 부동산을 ‘작은 평수 갈아타기’ 등으로 일부 현금화한다고 해도 연평균 5.04%의 수익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준비를 위해 연 4~7% 수준의 수익이 필요한 계층은 전체의 64%로 절반이 넘었다. 연 4% 이하는 12.8%에 불과했다. 지금의 은행 예금 수준으로는 원하는 은퇴 준비가 대부분 어렵다는 의미다.

삼성증권은 상담자들의 은퇴 후 생활비와 은퇴 예상 연령,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해 은퇴 목표를 설정한 뒤 부족자금 마련을 위한 자산 재조정이나 추가투자 수익률을 제시하고, 이를 은퇴 준비를 위한 필요 자산수익률로 정의했다. 조사대상의 평균 연령은 53세로 40~50대(59.4%)가 절반을 넘었다. 금융자산은 1억~5억원(47%)이 많았다. 고액 자산가들이 있어 1인당 평균 자산은 6억 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김진영 삼성증권 은퇴설계연구소장은 “최근에는 월 지급 주가연계증권(ELS)이나 브라질 채권 등이 연 5% 이상 수익률을 낼 수 있는 은퇴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며 “앞으로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플러스 알파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나 절대수익 추구형 상품이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09-1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