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신용카드·체크카드·스마트폰… 어떤 걸로 긁으시겠습니까

현금·신용카드·체크카드·스마트폰… 어떤 걸로 긁으시겠습니까

입력 2012-09-24 00:00
업데이트 2012-09-24 0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급결제수단 점차 다양화

정부 부처의 A국장은 가급적 현금을 쓴다. 신용카드를 썼더니 도통 씀씀이를 가늠하기가 어려워서다. 음식값 등을 낼 때 현금을 내면서 받는 몇 천원의 할인도 반갑다.
이미지 확대


금융감독당국의 B국장은 신용카드를 한 장만 갖고 있다. 감독업무를 하다 보니 과도한 신용카드 사용이 얼마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는지 깨닫게 됐기 때문이다. B국장은 과감히 지갑을 정리, 한 장만 남겨 놓았다.

직장 3년차인 C씨는 가급적 체크카드를 쓴다. 신용카드에 딸린 서비스를 못 받는 게 서운하기는 하지만 자신의 소득 수준 안에서 소비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해서다.

이미지 확대
지급결제수단이 다양해지고 있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이면 집적회로(IC)가 포함된 현금IC카드로도 물건을 살 수 있게 된다. 11월이면 지급결제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 받은 스마트폰으로도 결제할 수 있게 된다. 금융당국은 신용카드 사용을 줄이기 위해 결제수단을 더욱 다양화하려고 노력 중이다.

안착 여부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하다. 현금IC카드는 지금도 나와 있기는 하지만 발급 실적이 거의 미미하다. 입출금 기능만 있어서다. 여기에 새로 결제 기능이 얹어지면 체크카드와 겨뤄볼 만 하다는 게 일각의 주장이다. 하지만 발급비 2000원을 내야 한다. 그래서 은행 직원들은 발급비용이 없으면서 입출금 기능이 있는 체크카드를 권하곤 한다. 계좌 잔고 안에서만 쓸 수 있다는 점은 똑같은데 가맹점이 더 많다는 점에서 고객도 현금IC카드보다는 체크카드를 아직까지는 더 선호한다.

현금IC카드나 체크카드는 현금영수증과 마찬가지로 연소득의 25%를 넘는 사용액에 대해 3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신용카드는 20%까지만 가능하다. 이 같은 장점에서 체크카드 발급 수가 꾸준히 늘어 올 6월 말까지 9588만장이 발급됐다. 지난해 말보다 6.9% 늘어난 규모다.

신용카드 증가세는 주춤하는 양상이다. 할부구매 기능과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강점이지만 금융당국의 수수료 인하 압력에 카드사들이 부가서비스를 줄이고 있고 연 회비도 부담으로 작용해서다. 6월 말까지 발급된 신용카드는 1억 1637만장으로 지난해 말(1억 2214만장)보다 줄었다.

11월에 등장할 스마트폰 결제방식에 대해 한국금융연구원은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방식은 앱 개발과 계정관리 등만 필요해 손쉽게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휴대전화와 은행계좌를 모두 가진 사람의 11%가 지난해 모바일 결제를 이용했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조사결과를 그 근거로 들었다.

휴대전화 분실 위험에 따라 사용한도가 하루 30만원으로 제한되고 할부구매가 안 된다는 점은 약점으로 꼽힌다. 직불카드 개념이라 가맹점도 적다.

이상제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은 “네트워크 사업이기 때문에 ‘빅 푸시(Big push·강한 추진력)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돈을 들여 단말기를 깔아야 하는 만큼 가맹점이나 결제사업자가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수준의 ‘수요’가 전제돼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9-2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