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ㆍ담배ㆍ김 외국서 날다’… 농수산물 수출 주도

‘참치ㆍ담배ㆍ김 외국서 날다’… 농수산물 수출 주도

입력 2012-12-13 00:00
업데이트 2012-12-13 08: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류가 아세안ㆍ유럽 수출증가에 기여

참치, 담배, 김, 파프리카 등이 올해 농수산물 수출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수산물 수출증가에는 ‘한류’가 한몫했다.

1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11월 농수산물 수출액은 72억9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늘었다.

올해 농수산물 수출액 목표인 100억달러 달성은 사실상 물건너갔지만, 세계 경제의 침체를 생각하면 양호한 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대 수출품목은 지난해 1등이었던 담배를 밀어낸 참치다. 11월까지 수출액이 5억6천만달러로 64.4% 급증했다. 연말에는 6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태국, 중국 등으로 통조림용 참치 수출이 크게 늘어난 덕을 톡톡히 봤다.

참치에 밀렸지만 담배는 여전한 수출 강자다. 5억4천만달러로 16.8% 늘었다. 중동, 러시아, 동남아, 일본, 중국 등 고루 수출이 늘어 수출시장 다변화에도 성공했다.

KT&G 관계자는 “한국산 담배는 가격에 비해 품질이 매우 좋다는 인식이 외국에서 빠르게 펴져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김도 미국, 태국 등의 대형 유통업체에 입점한 영향으로 11월까지 수출액이 2억1천만달러에 달한다. 2010년 1억달러를 돌파한 후 불과 2년만에 ‘2억달러 클럽’에 들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김은 세계화에 성공한 한국 식품으로 반찬용 뿐 아니라 간식용으로 외국에서 인기”라고 설명했다.

올해 ‘수출 1억달러 클럽’에 들어간 농수산물은 참치, 담배, 커피, 설탕, 김, 음료, 라면, 인삼, 제3맥주, 소주, 오징어, 비스킷 등 12개 품목에 달한다.

제3맥주는 저알콜 발포주로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끈다.

파프리카의 수출액도 올해 1억달러에 육박할 전망이다. 1~11월 수출액이 8천200만달러로 38.3%나 급증했다. 국내 수요가 늘어 수출물량이 다소 부족해지자 수출단가가 크게 올랐다.

지역별로는 아세안으로의 수출이 15.8%, 유럽연합(EU)이 14.7% 급증했다. 가수 싸이나 걸그룹 등이 이 지역에서 ‘한류’ 열풍을 이끈 덕을 톡톡히 봤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지 입맛에 맞는 다양한 식품을 개발하고 마케팅 활동도 강화해 내년에는 농수산물 수출 100억달러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