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소비자물가 1.4% 상승…올해 연평균 2.2%↑

12월 소비자물가 1.4% 상승…올해 연평균 2.2%↑

입력 2012-12-31 00:00
업데이트 2012-12-31 08: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근원물가 1.2%, 생활물가 0.7%, 신선식품지수 9.4%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째 1%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2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상승했다. 연평균 기준으로는 2011년보다 2.2% 올랐다.

물가상승률은 9~10월 2%대를 유지하다 지난달부터 다시 1%대로 떨어졌다.

전월 대비로 최근 두 달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이번 달에는 0.2% 올라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2% 올랐고, 전월보다는 0.2%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ㆍ에너지제외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1월과 같은 1.4%로 넉 달째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7% 올랐고, 전월보다는 0.1%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1.6%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해 9.4% 오른 것으로 지난해 12월 3.6% 하락했던 기저효과 영향을 받았다.

전월 대비로 신선채소가 6.6%, 신선어개는 0.6% 올랐고 신선과실은 1.8% 내렸다.

특히 신선채소는 전년 동월 대비로 23.2% 급등해 불안한 모습이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11월과 비교해 식료품ㆍ비주류음료 부문과 오락ㆍ문화 부문이 0.6%씩 올랐고,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 부문도 0.3% 상승했다. 교통 부문은 0.2%,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 부문은 0.7% 내렸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기타상품ㆍ서비스(-4.1%)와 통신(0.0%)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올랐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1.0% 올랐다. 작년 11월보다는 1.6% 상승했다.

주요 품목을 보면 오이(29.7%), 시금치(25.9%), 생화(14.2%), 풋고추(14.0%) 등이 전달보다 가격이 많이 올랐다. 귤(-10.9%), 닭고기(-5.6%), 고춧가루(-2.4%) 가격은 내려갔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배추(193.1%), 파(91.6%), 무(73.7%), 양파(45.8%) 등 김장철 채소 가격이 폭등했다. 돼지고기(-25.9%), 감자(-22.9%) 등은 하향 안정된 모습이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1.0% 내렸으며 작년보다는 1.3% 올랐다.

전달과 비교해 소시지(7.5%), 컴퓨터본체(3.8%)가 올랐고 휘발유(-0.8%)는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지난달보다는 0.2%, 작년 같은 달보다는 1.3% 올랐다.

이 중 전세는 전년 동월 대비로 3.8%, 월세는 2.1% 올라 전체 집세는 3.3%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전월과 변동이 없었는데 작년 동월보다는 1.0% 상승했다. 시내버스료(6.0%), 전철료(12.5%), 입원진료비(2.2%) 등이 1년 전보다 오른 탓이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중학생 학원비(7.0%), 고등학생 학원비(7.3%), 초등학생 학원비(5.2%)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보였다.

16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울산, 전북, 제주(0.0%)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전월보다 0.1~0.3%씩 올랐다. 인천과 충북이 0.3%씩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기획재정부는 한파 영향으로 농산물 가격이 올랐지만 석유류 등 공업제품가격 하락으로 1%대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대선 이후 가공식품 가격과 공공요금 인상 움직임은 우려했다.

이에 따라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요금은 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부당한 가격 인상에는 엄정하게 대응하기로 했다. 공공요금은 인상이 불가피해지면 조정 시기를 분산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