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美 재정절벽 현실화하면 韓 성장률 1.1%P↓”

KIEP “美 재정절벽 현실화하면 韓 성장률 1.1%P↓”

입력 2012-12-31 00:00
업데이트 2012-12-31 1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미국에서 정치적 타협이 이뤄지지 않아 재정절벽이 현실화하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1.1%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편주현 KIEP 부연구위원은 31일 ‘미국 재정절벽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추정’ 보고서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그는 내년도 미국의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4.0% 급감하는 등 재정절벽이 완전히 현실화될 땐 한국의 실질GDP는 1.1%포인트 감소하고 순수출은 0.03%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실질실효환율(교역상대국가 통화의 구매력 대비 자국 통화 구매력)도 8.9% 절하된다고 봤다.

이는 재정절벽으로 미국의 성장률이 둔화하면 한국의 대(對)미 순수출이 감소하는 등 무역감소와 경상수지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에서다.

미국 정치권이 타협에 성공해 재정적자 감소폭이 GDP 대비 0.8%만 감소하더라도 우리 경제는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률은 0.32%포인트, 순수출은 0.01% 감소하고 실질실효환율은 2.6% 절하된다는 것이다.

편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와 미국이 경기변동과 주가변동에서 강한 동조성을 보이며 다양한 경로로 긴밀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무역 경로 외에도 미국의 주가하락이나 금융시장 불안과 같은 경로로 우리나라에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재정절벽이 현실화하면 2013년 미국의 GDP는 0.5% 위축되고 부분적으로 타협이 이뤄지더라도 1.7% 성장에 그친다고 전망했다.

편 연구위원은 한국이 받을 충격을 완화하려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