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보유액 최고 기록 6개월 연속 경신

외화보유액 최고 기록 6개월 연속 경신

입력 2013-02-05 00:00
업데이트 2013-02-05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역대 최대치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다.

5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외화보유액’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3천289억1천만달러다.


역대 최고치인 전월의 3천269억7천만달러보다 약 19억달러 많은 액수다. 외화보유액은 지난해 8월부터 6개월째 매달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한은 국제총괄팀 이순호 차장은 “유로화 강세(1월 중 달러 대비 2.6% 절상)에 유로 표시 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증가하고 외화자산의 운용수익 역시 늘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엔저 기조(1월 중 달러 대비 5.8% 절하)로 엔화 표시 자산의 달러 환산액도 줄었지만, 엔화 표시 자산 규모가 유로화 표시 자산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큰 영향은 없었다.

항목별로는 가장 큰 비중(90.0%)을 차지하는 유가증권이 전월보다 37억9천만달러 감소한 2천960억7천만달러였다. 이 차장은 “외화보유액의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다소 축소했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큰 비중(6.9%)인 예치금은 57억6천만달러 늘어난 228억달러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1.1%)은 2천만달러 줄어든 35억1천만달러였다.

금 보유액(84.4tㆍ1.1%)은 37억6천만달러로 제자리걸음을 했다. IMF 포지션(IMF 회원국이 출자금 납부로 보유하는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은 1천만달러 감소한 27억7천만달러였다.

우리나라 외화보유액 규모는 지난해 말 현재 세계 7위다. 세계 1위는 중국으로 3조3천116억달러다. 일본(1조2천681억달러), 러시아(5천376억달러) 스위스(5천312억달러), 대만(4천32억달러), 브라질(3천731억달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