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 홀로서기 정보유출 악재로 ‘삐끗’

코웨이 홀로서기 정보유출 악재로 ‘삐끗’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업 파장 막고자 조기 사태수습에 총력

웅진그룹에서 분리돼 홀로서기에 나선 코웨이가 뜻밖의 대형 악재를 만났다.

7일 코웨이에 따르면 정수기·공기청정기·비데 등 주력 상품 가입 고객의 절반이 넘는 198만명의 성명·전화번호·주소 등 개인정보가 영업사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된 것.

이번 사건은 웅진그룹의 추락과 분리매각 과정에서 실추된 기업이미지와 신뢰를 회복하고 경영을 정상화하는 데 주력해온 코웨이에 적잖은 타격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주요 고객층인 주부들의 불안감을 제때 해소하지 못할 경우 브랜드 경쟁력 하락으로 영업력 약화나 고객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코웨이는 금융계좌정보나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된 것이 아니어서 주민등록번호 도용이나 금융사고 같은 2차 피해 발생 우려는 없고, 전산망을 해킹당한 것이 아니라고 신속하게 해명하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서는 모습이다.

코웨이는 경찰로부터 수사 결과를 통보받은 이튿날 지체없이 정보유출 사실을 공지하고, 해당 고객들에게도 일일이 통보하는 등 파장이 확산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코웨이는 국내 최강의 방문판매 조직을 앞세워 국내 정수기 시장의 50%를 점하고 있으며, 공기청정기와 비데도 국내 시장 점유율이 각각 45%와 47%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전체 상품 가입자 수는 350만명에 달한다.

덕분에 코웨이는 웅진그룹 계열사 가운데 알짜 중의 알짜로 평가받아왔다.

태양광, 건설 등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인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한 웅진그룹이 마지막 카드로 코웨이 매각을 빼든 것도 이 때문이다.

웅진그룹 지주사인 웅진홀딩스가 계열사인 극동건설과 함께 지난해 9월 말 예기치 않게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을 했을 때, 채권단은 웅진그룹이 매각을 추진 중이던 코웨이를 내놓지 않으려는 ‘꼼수’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웅진홀딩스가 보유한 코웨이 지분 30.9%를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에 1조2천억원에 매각하는 작업이 지난달 마무리되면서, 코웨이는 모태인 웅진그룹에서 완전 분리됐다.

그 과정에서 사명도 ‘웅진코웨이’에서 ‘코웨이’로 바꿨다. 코웨이는 현재 수처리 사업부문 매각을 추진하는 등 조직을 정비하고 새 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