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공유 3천건 목표”…대기업 참여 본격화하나

”성과공유 3천건 목표”…대기업 참여 본격화하나

입력 2013-02-07 00:00
업데이트 2013-02-07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 직후 한달새 성과공유제 과제수 171% 증가

새로 출범할 정부가 중소기업 중시 정책을 예고하면서 대기업의 성과공유제 참여가 본격화할지 주목된다.

성과공유제는 대·중소기업이 협력해서 과제를 진행하다가 성과가 나면 이를 사전에 계약한 대로 나누는 제도다.

동반성장위원회는 대선 직후인 작년 12월26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한 달여 동안 대기업이 성과공유제로 등록한 과제 수가 171%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과제 수는 212건에서 575건, 참여 대기업 수는 37개에서 50개로 늘었다.

과제 구성별로 살펴보면 연구개발 과제가 40.3%를 차지했고 비연구개발 과제는 59.3%였다.

연구개발 과제 중에서는 신기술 개발형이 48%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국산화 개발형 42%, 공동상품 개발형 5% 등이 뒤를 따랐다.

개발 성과의 공유 방식은 지적재산권 공유·현금 배분이 55.3%로 가장 많았으며 매출 성과형 29%, 경영적 성과형 16% 등의 순이었다.

동반위는 이 같은 추세에 힘입어 올해 말까지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 100여 개 기업이 성과공유제에 참여해 과제 수는 3천 건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반위 관계자는 “성과공유제를 도입하면 올해 5월 발표하는 동반성장 지수에 가점을 받을 수 있는 데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기업이 정부 정책에 맞추기 위해 서둘러 도입하려는 경향도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성과공유제를 도입하면 협력사가 연구개발을 할 유인책으로 작용해 대기업 입장에서는 불황기를 타개할 전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동반위는 앞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성과공유 모델 20개를 개발하는 한편 연구개발형 과제 발굴을 위해 성과공유 코칭 사업을 새로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