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등 동물 바이러스 치료 가능성 열려

조류독감 등 동물 바이러스 치료 가능성 열려

입력 2013-02-17 00:00
업데이트 2013-02-17 0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영준 연세대 교수팀 연구성과

국내 연구진이 조류독감, 구제역,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등 동물 바이러스 감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영준 연세대 교수, 이명섭 연구교수, 김병일 학생이 참여한 연구팀이 동물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유전자인 ‘OASL1’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동물의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터페론’이라는 항바이러스성 단백질을 만들어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감염 세포를 죽여 바이러스의 추가 확산을 막는다.

인터페론은 항바이러스·항암 작용에 중요한 단백질이지만 많이 생산하면 정상세포도 파괴해 일정 수준에 이르면 더는 생성되지 않는다.

연구팀은 인터페론 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QAS 유전자를 조사했고, 이 가운데 QASL1의 기능을 억제하면 매우 강한 항바이러스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생쥐 실험결과 QASL1 유전자가 없는 생쥐는 바이러스 감염시 정상 쥐보다 더 많은 인터페론을 생산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정상 쥐가 모두 죽는 조건에서도 살아남았다.

QASL1이 제거된 돌연변이 생쥐는 제1형 인터페론을 생산해 바이러스를 퇴치하면서도 과도한 면역반응 같은 부작용은 일으키지 않았다.

사람, 소, 돼지 등에도 QASL1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유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커 사람과 가축에 두루 쓸 수 있는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전망이다.

김 교수는 “조류독감, 구제역, 사스 등 치명적인 바이러스 감염질환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었다”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런 감염 질환을 퇴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연구에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 학술지인 ‘네이처 이뮤놀로지’(Nature Immunology) 17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