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사업 목매는 유통업체들

新사업 목매는 유통업체들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마트 국내 첫 고속도휴게소 점포…이마트·홈플러스 물품도매업 진출

이미지 확대
18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 GS슈퍼 낙성대점에서 한 소비자가 20일부터 판매하는 알뜰폰을 살펴보고 있다. GS슈퍼 제공
18일 서울 관악구 봉천동 GS슈퍼 낙성대점에서 한 소비자가 20일부터 판매하는 알뜰폰을 살펴보고 있다.
GS슈퍼 제공
경기불황과 영업규제로 인한 매출 부진 타개를 위해 유통업체가 신사업에 목을 매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4월 경기 이천 마장 프리미엄 휴게소에 면적 2300㎡ 규모의 새 매장을 낼 계획이다. 관광객을 겨냥해 전체 취급 물품의 70%를 아웃도어 중심으로 구성해 의류 매장으로 특화할 예정이다. 고속도로 출점은 국내 처음이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다양한 유통채널을 모색하는 시도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는 소규모 개인 슈퍼마켓에 물품을 공급하는 도매상도 한다. 이마트는 슈퍼 사업부문인 에브리데이를 통해 동네 슈퍼나 마트를 상품 공급점으로 지정하고 제품을 공급한다. 편의점 업체인 ‘위드미’에도 상품 공급을 검토 중이다. 홈플러스도 자체상표(PB) 상품 등을 기존 대리점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도매업을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신규출점이 거의 불가능해졌다”면서 “기업 입장에서는 규제를 받지 않는 쪽으로 사업을 전환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사업 다각화로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지만 일각에서는 규제망을 빠져나가기 위한 ‘꼼수’에다 중소상인의 영역을 침범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통신망임대사업자(MVNO)의 저렴한 요금제와 서비스를 활용하는 알뜰폰도 짭짤한 먹거리다. 지난해 11월 편의점업체 세븐일레븐이 ‘세컨드폰’으로 처음 알뜰폰 시장에 진입한 데 이어 지난달 경쟁업체 GS25와 CU(리하트폰) 등도 잇따랐다. ‘세컨드’의 경우 판매 시작 1주일 만에 411대가 팔렸고 이달 초 누적 판매량이 5000대를 돌파하는 등 판매실적이 좋아 유통업체들에겐 매력적인 아이템이다.

이에 따라 기업형슈퍼마켓(SSM)으로는 처음으로 GS슈퍼가 알뜰폰 판매에 나섰다. LG 유플러스와 함께 20일부터 서울·경기 등 주요 매장 10곳에서 피처폰 3종(3만 5000원), 스마트폰 2종(7만원) 등 총 5종을 선보인다. 지난해 SKT, KT와 손잡은 이마트, 홈플러스 등도 조만간 알뜰폰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올해 신규 출점 계획이 단 한 곳도 없는 백화점 업계는 대안으로 아웃렛에 몰두 중이다. 불황을 모르던 명품조차 ‘떨이’ 행사에 기댈 정도로 백화점 장사가 신통찮은 반면 값싼 이월 상품을 판매하는 아웃렛의 매출이 쑥쑥 늘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갤러리아가 운영하던 서울역 콩고스백화점을 인수해 아웃렛으로 바꿔 개장했고, 올해 2곳(충남 부여, 경기 이천)에 추가 출점한다. 경기 파주·여주 프리미엄 아웃렛의 대규모 증축 공사를 진행 중인 신세계는 오는 9월 부산 기장군 부산 프리미엄 아웃렛을 연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2015년 경기 김포에 아웃렛 개점이 예정돼 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3-02-1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