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발급량 금융위기 때 수준…국민 1인당 4.5장

신용카드 발급량 금융위기 때 수준…국민 1인당 4.5장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09: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상 결제 때 카드 비중은 65% 달해

경기 침체와 카드 규제 강화로 경제활동인구 1인당 신용카드가 금융 위기 직후인 2009년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서 물건 등을 살 때 카드로 결제하는 비중은 65%에 달했다.

1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 등이 지난해 3분기까지 발급한 신용카드는 1억1천712만장으로 경제활동인구 2천576만명의 4.5배다.

경제활동인구란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려고 노동을 제공하거나 제공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만 15세 이상 65세 이하인 사람이다. 취업자 또는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가 1인당 4.5장의 신용카드를 가진 셈이다. 2011년과 비교하면 0.4장이나 줄었다.

1인당 신용카드 수는 2003년 카드 대란 여파 등으로 2007년 3.7장까지 줄었다. 이후 글로벌 금융 위기 에서도 2008년 4.0장, 2009년 4.4장, 2010년 4.7장, 2011년 4.9장으로 늘다가 지난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신용카드 급감은 경기 불황으로 저신용자의 파산이 늘어나고 금융 당국이 휴면 카드를 대거 줄였기 때문이다. 체크카드의 급속한 확산으로 신용카드의 입지가 좁아진 측면도 있다. 카드사들이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를 이유로 부가 혜택을 대폭 줄여 고객에 외면당한 점도 작용했다.

지갑 속에 들어 있는 카드 수는 줄었으나 일상생활에서 돈을 낼 때 카드로 결제하는 비중은 처음으로 65%대를 넘어섰다.

현금을 쓰기보다 포인트 적립, 할인 등 부가 혜택이 집중된 핵심 카드만 골라 쓰는 문화가 정착됐음을 보여준다.

지난해 1~3분기 민간최종소비지출(507조5천577억원) 가운데 카드 사용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65.7%로 2011년 62%보다 3.7% 포인트나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7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생산물에 대한 가계의 소비지출을 뜻하는 민간최종소비지출에서 카드 사용액 비중이 65%를 넘었다는 것은 총 100만원을 구매하면 65만원은 카드로 결제한다는 의미다.

카드 결제가 어려운 1천원 미만의 소액 지출이 민간최종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거의 모든 소비 활동에서 카드가 결제 수단으로 쓰이는 셈이다.

민간최종소비지출 대비 신용카드 사용액 비중은 1991년에는 5.6%에 불과했으며 1999년까지도 15%를 넘지 못했다. 2005년 40.4%로 40%를 돌파하고서 2007년 44.8%, 2008년 49.1%, 2009년 52.1%, 2010년 56.8%로 높아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