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 부는 서울아파트시장…바닥쳤나

훈풍 부는 서울아파트시장…바닥쳤나

입력 2013-02-19 00:00
업데이트 2013-02-19 09: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 거래 늘어나고, 강남 재건축 일부 가격 ‘반등’

경기침체와 정책 공백 등으로 지난 달 최저치를 기록한 아파트 매매시장이 2월에 다소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114와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18일 기준 881건으로 집계됐다.

아직 전달의 1천174건보다는 적지만 설 연휴로 영업일수가 줄어들었고 아직 영업일수가 남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최악의 상황은 벗어날 것으로 여겨진다. 지난 달 서울 아파트시장 거래는 2006년 이후 가장 적었고 가격도 최저치를 기록했다.

구별 거래현황을 보면 송파구와 도봉구, 관악구는 이미 지난 달 거래량을 넘겼고 강동구와 노원구, 양천구, 동대문구 등은 지난 달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

송파구는 69건이 거래돼 1월 53건을 이미 넘어섰다. 둔촌주공 등 강동구 아파트 거래는 57건으로 1월 58건에 근접했고 학군 수요가 몰리는 노원구는 91건 거래돼 지난 달 92건에 육박했다. 양천구 거래량도 34건으로 전달 38건을 넘보고 있다.

거래가 늘면서 일부 아파트 가격은 반등에 성공했다.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가격은 0.38% 하락했지만 재건축아파트는 0.23% 올랐다.

올해 서울에서 매매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15일 기준 강남 개포 주공3단지 전용 35.87㎡규모로 작년 말보다 10.4% 상승했다. 매매 호가는 작년 말 5억250만원에서 5억5천500만원으로 1개월 보름 만에 5천250만원 뛰었다.

작년 말 6억원이었던 개포 주공1단지 전용 36.19㎡는 최근 6억4천500만원으로 4천500만원(7.5%) 상승했고 강동구 고덕주공6단지 전용 55.44㎡는 4억3천만원으로 연말보다 2천500만원(6.2%) 올랐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매매시장이 다소 활기를 찾은 것은 취득세 감면 조치를 올해 6월 말까지 연장 시행키로 한데다 일부 재건축단지가 사업속도를 내고 있다는 소식이 매수심리를 자극했기 때문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여기에 지난 달 워낙 침체에 빠진 아파트시장이 바닥을 찍은 게 아니냐는 ‘바닥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장에선 이런 주택시장 반등 분위기가 점차 확산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친(親)시장주의자인 현오석 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과 서승환 연세대 교수가 각각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국토교통부 장관에 내정되자 주택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장기 상승추세가 나타날지 여부는 새 정부 정책 방향의 윤곽이 나올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다.

채훈식 부동산1번지 실장은 “계절적으로 봄 이사철을 맞아 거래도 늘어나고 반등세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상승 추세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아직 단정하기 이르다”고 언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