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갈수록 ‘우울한 첫 출발’

청년들 갈수록 ‘우울한 첫 출발’

입력 2013-02-22 00:00
업데이트 2013-02-22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취업 ‘1년이하 계약직’ 4년새 60% 급증

청년 취업의 질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첫 직장을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시작하는 청년층이 4년 만에 60% 가까이 급증했다. 반면 정규직 취업은 11.6% 줄었다.

21일 금융투자업계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학교를 떠나 처음으로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청년(만 15~29세)은 지난해 80만 2000명으로 집계됐다. 2008년 50만 5000명보다 59.0%나 늘어났다. 그나마 2011년보다 다소 줄어든 숫자다.

반면 계약기간이 1년보다 긴 계약직은 같은 기간에 28만 7000명에서 11만 6000명으로 59.6% 감소했다. 정규직 등 계약기간 없이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직장에 취업한 청년도 11.6%(285만 2000명→252만명) 줄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 고용의 질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셈이다. 양적으로도 후퇴했다. 졸업·중퇴 후 취업 유경험자가 451만 3000명에서 402만 8000명으로 10.8% 감소했다. 사무직이 첫 직장인 청년이 21만 6000명 줄어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관리자·전문가(12만명), 기능기계조작종사자(6만 7000명) 등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한국의 성장잠재력을 갉아먹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임노중 IM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단기 계약직으로는 장기적·안정적 소득이 창출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 소비를 할 수 없다”면서 “아울러 결혼 적령기가 늦춰지고, 출산율이 떨어지는 등 국가의 성장잠재력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2-22 1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