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가구 60% “원리금 상환 때문에 생계에 어려움”

대출 가구 60% “원리금 상환 때문에 생계에 어려움”

입력 2013-02-25 00:00
업데이트 2013-02-25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가구 57.1% 금융기관서 대출…7.7%는 과다부채한은,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 발표

작년말 현재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가구가 전년보다 늘어나 전체 가구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부채 가구의 60%가량은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이 없으면서도 주택구매를 포기하겠다는 가구는 증가추세다. 무주택 3가구 중 1가구가 내 집 마련의 꿈을 ‘실현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부가조사)’ 결과로는 금융기관 대출을 받은 가구는 전체의 57.1%다. 전년 54.0%보다 3.1%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2월 전국 2천119개 도시 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대출용도는 거주주택마련이 34.3%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생활자금 25.4%, 전·월세보증금 12.6%, 사업자금 12.2% 등이었다. 주택 관련 대출이 절반에 가까운 46.9%다.

은행에 신규대출 또는 만기연장대출을 신청한 가구는 전체의 30.0%였다. 이 가운데 23.0%는 대출신청액 일부만 받았고, 2.4%는 아예 받지 못했다. 4명 가운데 1명꼴로 은행 대출의 ‘높은 문턱’을 실감한 셈이다.

은행에서 원하는 만큼 돈을 빌리지 못한 이유로는 ‘낮은 소득수준’(35.7%), 담보부족(33.7%), 신용상태(17.3%) 등이 많이 꼽혔다.

은행 대출이 모자라는 가구 가운데 45.4%는 상호저축은행이나 신협 등 금리가 높은 제2·제3금융권에서 부족자금을 융통했다. 25.5%는 지인 등에게서 빌렸다.

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가계 총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과다부채가구는 부채 보유 가구의 13.1%, 전체 가구의 7.7%다. 2009년 조사에선 과다부채 가구가 부채보유 가구의 14.5%, 2010년 조사에선 17.6%였다.

한은 관계자는 과다부채가구가 줄어든 데 대해 “가계의 가처분 소득 증가와 금리 인하에 따른 이자부담 감소, 일부 거치기간 연장 등이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부채 가구의 18.0%는 작년에 원리금을 제때에 갚지 못한 전력이 있었다. 4회 이상 연체 가구도 4.7%나 됐다.

58.9%는 작년에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62.3%는 원리금 상황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답해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보유 부동산 가격이 내렸다고 응답한 가구는 34.7%(크게 하락 8.2%)다. 올랐다고 답한 가구 24.4%(크게 상승 5.1%)를 10.3% 포인트 웃돌았다.

1년 후 부동산 가격을 묻는 항목에서는 54.0%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락 전망’은 28.1%, ‘상승 전망’은 17.9%다.

5년 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견해는 38.1%로, ‘하락할 것’이라는 견해(26.2%)보다 11.9% 포인트 많았다. ‘단기 하락, 장기 상승 전망’이 대세를 이룬 것이다.

무주택자 가운데 향후 내 집 마련이 가능할 것이라는 응답은 67.0%다.

내 집 마련 소요기간은 5년 이내가 26.9%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5~10년 미만 26.2%, 10~15년 미만 7.7%, 15~20년 미만 3.9%, 20~30년 미만 2.4% 순이었다.

‘향후 10년 이내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응답은 53.1%로 예년과 비슷했다.

하지만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가구는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 2010년엔 26.9%였고 작년엔 29.8%였으며 이번 조사에선 33.0%로 증가했다.

정부가 경제정책 추진 때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으로는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 41.9%, 경제성장 29.5%, 고용 확대 19.2%, 소득분배 9.4% 등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경제성장이 8.1% 포인트 증가했지만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 비중은 9.6% 포인트 줄었다.

가계가 겪는 가장 큰 경제 어려움으로는 물가상승(30.7%), 경기침체(19.9%), 소득감소(19.2%), 고용불안(8.2%), 부동산가격 하락(5.5%) 등을 차례로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