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 물꼬 트나

이마트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 물꼬 트나

입력 2013-03-04 00:00
업데이트 2013-03-04 09: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마트가 하도급직원의 정규직 전환 방침을 발표하자 업계에서는 앞으로 다른 유통업체들에서도 정규직화 움직임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마트는 4일 매장에서 상품 진열을 담당하던 하도급 직원 1만여명을 다음달 1일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직접적인 이유는 지난달 28일 고용노동부가 판매 도급사원들을 불법 파견으로 규정하고 직접 고용하도록 지시한 데 따른 것이지만, 최근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된 것도 주된 이유로 작용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달 25일 “임기 내 반드시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되도록 최대한 힘쓰겠다”고 밝혔으며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파견 근로자들의 정규직화 바람이 거세게 불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달 28일에는 대법원이 GM대우(현 한국지엠) 자동차 생산공정에 투입된 협력업체 근로자들을 파견 근로자로 보고 GM대우와 협력업체 대표의 형사 책임을 인정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노조 직원 사찰’ 의혹 등으로 고용부의 특별 근로감독을 받은 이마트가 ‘첫 테이프’를 끊은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고용부는 근로감독 결과 하도급 근로자의 직접 고용을 지시했으며 이를 거부하면 고용부는 매달 197억8천만원의 과태료를 법 이행시까지 부과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마트는 “지난해부터 하도급 직원 정규직화를 준비해 왔다”며 “이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을 받게 돼 더 끌지 않고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통업계에서는 이번과 유사한 결정이 다른 업체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2007년에는 신세계가 캐셔 등 비정규직 직원 5천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홈플러스는 4천여명의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등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대책은 업체들의 비정규직 대책은 연쇄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통산업 전체에는 1만5천여명이 넘는 사내하도급 근로자가 있다”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기업들이 이들의 정규직화에 집중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현대차 등 다른 업종에서 유사한 문제로 논란을 빚는 기업들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