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하락 지속…한은 금 매입 적절성 논란

금값 하락 지속…한은 금 매입 적절성 논란

입력 2013-03-17 00:00
업데이트 2013-03-17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 거래시장에서 금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은행이 지난달 20t의 금을 추가로 매입한 것을 둘러싸고 적절성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금 가격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고 매입에 나서 결과적으로 외화보유 운용에서 손실을 본 게 아니냐는 것이다.

한국은행 조사국이 지난 15일 내놓은 ‘해외경제포커스 2013-11호’에 따르면 작년 11월 온스당 1천714.80 달러까지 치솟았던 금 가격은 12월 1천675.35 달러로 떨어진 뒤 올해 1월엔 1천663.65 달러, 2월엔 1천579.58 달러까지 내려갔다. 작년 11월 이후 온스당 135.22 달러, 7.9%나 하락했다.

또 전세계적인 수요 감소로 금값이 계속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처럼 마냥 치솟기만 할 것 같았던 금값의 흐름이 바뀌자 한은이 최근에 금 보유량을 부쩍 늘린 게 적절한 정책적 판단이었느냐는 의문이 나온다.

앞서 한은은 작년 11월에 7억8천만 달러를 들여 금 14t을 매입한 데 이어 지난 달에도 10억3천만 달러를 추가로 투입해 금 20t을 사들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금 보유량은 104.4t으로 늘었다. 지난 2010년 8월까지 금 보유량이 14.4t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비춰보면 6.25배(90t) 늘어났다. 그 결과 외화보유액 가운데 금이 차지하는 비율도 0.03%에서 1.5%로 증가했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달러화 위주인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에 대해 다변화해 운용해야 한다고 지적해왔다.

금은 국제금융시장의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만큼, 다변화 대상 중에서 우선으로 꼽혀온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한은의 금매입 속도다. ‘단기간에 과도하게 사들인 것 아니냐’는 거다. 한은은 4개월 사이에 현재 금 보유량의 3분의 1 가까이 집중적으로 매입했다. 소요된 외화도 18억1천만 달러나 된다. 지난달에 외화보유액이 9개월 만에 감소한 것도 금을 20t이나 사들인 것과 무관치 않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은의 금 매입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자 김중수 총재까지 나서 진화에 나섰다.

김 총재는 14일 기자회견에서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의 금을 가지는 것은 중앙은행으로선 필요한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세계 10위권 진입을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전세계 국가 가운데 30위권 중반대인 우리나라의 금 보유 순위를 언급하며 ‘심한 부조화’를 지적했다.

과거에는 외화보유액이 부족해 금을 매입하는 것이 부담이 컸으나 지금은 외화보유고에 여유가 생긴 만큼 글로벌 추세에 맞춰서 한은도 금을 갖고 외화보유액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김 총재는 최근의 잇단 금 매입이 단기보다는 먼 훗날까지 바라본, 우리나라 전체의 외화보유 운용에 관한 하나의 원칙으로 이해해달라고 부연했다.

이같은 설명에 대해 일각에선 한은이 지속적으로 금을 매입할 방침임을 시사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