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900선 일시 붕괴후 반등…향후 전망은

코스피 1,900선 일시 붕괴후 반등…향후 전망은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14: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가 장중 한때 심리적 저지선인 1,900선 아래로 내려갔다가 극적으로 반등에 성공했다.

 정부가 경기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안 17조3천억원과 기금 지출 증액 2조원 등 모두 19조3천억원을 투입한다는 소식이 악재를 누르고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코스피는 16일 오후 2시 현재 전 거래일보다 0.58포인트(0.03%) 낮은 1,919.87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오전 11시 전후에는 1,900선을 깨고 1,890대 후반으로 내려갔었다.이날 개장 전 예상지수도 1,890대 중후반으로 1,900선 이하였다.

 코스피가 1,900선 이하로 내려간 것은 2012년 11월22일(1,899.50)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직접적인 원인은 중국의 경제성장률 부진 소식이다.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8%)보다 낮은 7.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의 경기 회복이 둔화될 것이란 우려가 높아지면서 뉴욕 증시가 올해 들어 최대 낙폭을 보였고,연쇄반응으로 한국 증시도 급락했다는 것이다.

 증권가 일각에선 이미 과열 상태였던 미국 증시가 중국발 악재를 계기로 조정에 들어갔다는 진단도 나온다.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이달 초 발표된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 지수나 고용지표가 좋지 못했지만 증시는 랠리를 지속해 며칠간 오버슈팅(주가과열)이 된 국면이었다”고 말했다.

 정부가 이날 오전 19조3천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하면서 악재는 진정됐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북한 리스크가 장기화되고 있고,IT(정보기술) 등 전기전자를 제외한 대부분 업종의 실적 전망치가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되는 등 상장사들의 1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듯 이날 오후 2시까지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6거래일 만에 최고치인 2천350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개인과 기관은 각각 1천669억원,659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추경이 발표됐는데도 지수가 전날 종가 이상으로 반등할 기미가 없다”면서 “대외 악재와 상쇄된 셈인데 결국 추경을 통한 외국인들의 투자심리 반전 기대는 무너진 셈”이라고 말했다.

 다만 너무 부정적으로만 볼 상황은 아니란 의견도 있었다.

 국내 기업의 1분기 실적이 예상보다는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미국 등 주요국의 엔저 견제가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 때문에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아 온 엔저 현상이 주춤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이러한 주장의 근거 중 하나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의회에 제출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일본은) 경쟁력 목적으로 통화 가치를 내리거나 환율을 움직여선 안 된다”면서 “일본이 경쟁 목적으로 엔화를 평가절하하지 못하도록 계속 압박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3거래일 연속 하락해 16일 오후 2시 현재 달러당 97.61엔에 거래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