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조작 근절대책] 상장사 10곳 중 1곳 피해… 작전세력 개입 42% 1위

[주가조작 근절대책] 상장사 10곳 중 1곳 피해… 작전세력 개입 42% 1위

입력 2013-04-19 00:00
업데이트 2013-04-19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주가조작 사례

“주가조작은 개인 투자자들을 절망으로 몰아넣고 막대한 부당이익을 챙기게 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11일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국무회의에서 한 말이다. 얼마나 심각하길래 대통령이 직접 주가조작을 언급했을까. 상장사 10개사 중 1개사꼴로 주가조작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불공정거래 혐의가 적발된 종목은 유가증권시장 57개 종목과 코스닥시장 143개 종목 등 총 200개다. 상장종목이 1921개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장사 10개사 가운데 1개사에 해당한다.

혐의 유형별로는 작전세력에 의한 시세조종이 42%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총선·대선 영향으로 테마주가 유행한 탓이다. 불공정거래로 적발된 상장사 10개사 중 3개사가 테마주로 엮여 있었다. 미공개정보 이용이 35%, 부정거래가 13%로 뒤를 이었다.

불공정거래 형태가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는 것도 문제다. 인터넷 게시판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허위 사실 유포는 기본이다. 시장 자체를 흔들기도 한다. 지난해 1월 북한 영변에서 핵 시설이 폭발했다는 루머가 여의도 증권가에 메신저를 타고 돌았다. 코스피는 10분 만에 1840선에서 1820선으로 떨어졌다. 코스피 하락 풋옵션에 투자한 작전세력들이 저지른 시세조종이었다.

올해 들어서는 케이블TV와 인터넷 증권방송을 이용한 작전세력이 줄줄이 기소됐다. 이들은 증권방송에서 전문가 행세를 하며 미리 사 둔 종목을 반복 추천했다 주가가 오르면 팔아치웠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시장과 상품이 다양해지고 금융정보기술이 발달할수록 불공정거래가 고도화되고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작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4-19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