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조세 정보 교환 합의...역외탈세 방지

G20 조세 정보 교환 합의...역외탈세 방지

입력 2013-04-20 00:00
업데이트 2013-04-20 1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20(주요 20개국)은 회원국간 조세정보 교환을 강화해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와 각종 역외 탈세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한국에서 지하경제 양성화가 화두로 떠오르고 재정위기에 빠진 유럽연합(EU)에선 탈세에 대한 대응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이뤄진 합의여서 눈길을 끈다.

19일(현지시각) G20은 “모든 금융당국(jurisdiction)이 ‘다자간 조세행정공조협약’에 가입하거나 가입 의사를 표명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다자간 조세행정공조협약은 국가 간 징수 협조를 위해 맺는 협약이다. 여기 가입하면 금융정보를 자동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현재 43개국이 서명한 상태다.

G20 회원국 가운데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만 가입하지 않았으며 한국은 작년 7월 가입했다.

G20이 금융당국을 특정 국가(state or nation)로 표기하지 않고 포괄적인 령(jurisdiction)으로 명시한 것은 대다수 조세피난처가 선진국의 자치령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최근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폭로한 세계 유명인사들의 탈세의혹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BVI)에서 시작됐다. 또 다른 조세피난처로 유명한 케이맨제도도 태평양에 위치한 영국령 섬이다.

G20은 “비협조지역과 조세피난처를 통한 국제적 탈세와 조세회피를 막으려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아직 규제체계가 기준에 못 미치는 금융당국을 압박했다.

그러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나라별 특수성을 고려한 자동정보교환 기준을 개발해 오는 9월 상트페테르부르크 정상회의에서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다국적기업의 조세회피(BEPS)와 관련해 개발 중인 실천계획에 대해서는 오는 7월 모스크바 재무장관회의에서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은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총재들에게 조세정보교환에 관한 새로운 보고서를 제출했다.

‘투명성과 조세정보교환을 위한 글로벌 포럼’에서 나온 내용을 발전시킨 것으로, 다국적회사에 부당한 조세혜택을 주는 각종 조세포탈에 관한 논의가 담겨 있다. 2000년 설립된 글로벌 포럼은 국제세금기준을 합의하고자 만들어졌으며 현재 119개 국가와 자치령이 가입돼 있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자동정보교환에 대한 정치적 지원이 이보다 컸던 때는 없었다. 룩셈부르크가 입장을 바꿨고 미국의 해외금융자산신고법(FATCA) 법령은 자동정보교환의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OECD는 자동정보교환에 관한 새로운 기준으로 설정해달라는 G20의 요청에 따라 안전하고 효과적인 기준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G20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자금세탁 방지·테러자금조달 차단(AML·CFT)이 미흡한 고위험당국을 지정하고 감독하는 작업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회원국이 FATF의 기준을 충족하도록 노력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