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식량안보지수 77.8점…세계 21위

한국 식량안보지수 77.8점…세계 21위

입력 2013-04-22 00:00
수정 2013-04-22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1위 미국, 2위 덴마크, 3위 노르웨이낮은 식량자급률 미반영…농업경쟁력 키워야

갈수록 하락하는 식량자급률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식량안보 수준이 세계 21위로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됐다.

2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경제정보평가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최근 발간한 2012년도 세계 식량안보지수(GFSI)에서 한국은 77.8점으로 총 105개 국가 중 21위에 올랐다.

식량안보지수는 각국의 식량 공급능력, 영양학적 품질, 식품안전 등을 종합 평가한 수치다.

미국이 89.5점으로 1위에 올랐으며, 덴마크(88.1), 노르웨이(88.0), 프랑스(86.8), 네덜란드(86.7) 등 서구 선진국들이 뒤를 이어 상위에 랭크됐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콩고(18.4), 차드(20.2), 부룬디(22.9), 아이티(24.5), 마다가스카르(26.3) 등이 최하위권을 이뤘다.

콩고의 하루 1인당 식량공급량은 1천605㎉로 성인 권장 수준의 43%에 불과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80.7)이 16위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한국이었으며, 북한은 분석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은 62.8점으로 38위, 인도는 45점으로 66위를 각각 기록했다.

세부지표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식량 공급능력에서 12위를 차지해 부담능력(23위)이나 식품 품질·안전(23위) 순위보다 높았다.

공급능력 중 농업 연구개발(R&D) 공공지출(100점)과 미량 영양소 공급능력(80.9점)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다.

그러나 식품 품질에 포함되는 음식섭취의 다양성은 55점으로 세계 1위인 네덜란드보다 21점이 뒤진 41위로 처졌으며, 식품 안전 면에서도 32위를 기록해 다른 부문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평균 식량공급량은 1인당 하루 3천74㎉로 37위였으며, 정치 안정에 대한 위험(55.6점)도 36위에 그쳤다.

듀폰사가 EIU에 위임해 발표된 이번 식량안보지수는 그러나 식량자급률이 중요한 의미가 있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부 국가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 곡물자급률은 1990년 43.1%에서 2011년 22.6%로 연평균 3.03%씩 지속적으로 떨어져 왔다.

쌀 자급률은 1990년 이후 2010년까지 100%의 자급률을 유지해오다가 2011년 83.0%로 크게 떨어졌으며, 보리 22.5%, 두류 6.4%, 밀 6.6%, 옥수수 0.8% 등 주요 곡물의 자급률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임송수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식량안보 지수가 한국의 상황을 정확히 대변한다고 보기는 힘들다”며 “한국은 필요한 식량의 70% 이상, 특히 당류와 육류의 사료 대부분을 수입하며, 만성적인 식량 부족 하에 있는 북한과 군사적으로 대치하면서도 통일을 대비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경제 규모에 비해 크게 낮은 편으로 선진국 진입을 위해서는 농업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