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일·가정 양립지원 좋지만 시행은 좀…”

기업들 “일·가정 양립지원 좋지만 시행은 좀…”

입력 2013-04-24 00:00
업데이트 2013-04-24 0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원제도 필요” 응답 90% 이상… “적극 시행”은 30% 안팎

기업들은 육아휴직과 같은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제도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인력공백 등 문제로 실제 시행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여성가족부가 지난 3월21-27일 전국 5인 이상 사업체 1천 곳의 인사대상자를 대상으로 벌인 ‘일·가정 양립제도 인식조사’(복수응답) 결과를 보면, 출산전후 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96.4%)가 가장 필요한 제도로 조사됐다.

다음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92.4%), 육아휴직(91.3%), 가족돌봄휴직(91.0%), 유연근무제도(78.1%) 순이었다.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일·가정 양립 지원 법안 중에는 임신여성의 1일 2시간 단축근무(42.3%), 배우자 출산 시 남성근로자 30일 육아휴직(27.3%), 만6세 이하 자녀를 둔 남녀근로자 육아휴직 1개월 의무사용(16.6%), 육아휴직 대상 자녀연령 만8세 이하로 조정(13.8%) 순으로 필요하다는 답이 많았다.

기업들은 지원 제도의 긍정적 효과로 양립 지원(47.1%), 가족친화적 이미지 제고(21.3%),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19.4%), 우수 인재풀 구축(12.1%)을 꼽았다.

반면 인력공백(46.5%)과 비용증가(30.9%), 인사관리 어려움(12.9%) 등을 제도 시행의 어려운 점으로 들었다.

이런 점을 이유로 지원 제도를 적극 실시하겠다는 답은 30% 안팎에 그쳤다.

적극 실시하겠다는 응답을 제도별로 보면 ‘배우자 출산휴가’ 35.0%, ‘육아휴직’ 30.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29.0%, ‘출산전후휴가’ 27.4%, ‘가족돌봄휴직’ 24.3%, ‘유연근무제’ 23.7%였다.

기업들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선 국가의 적극적 지원(54.1%)과 노·사·정 협력(19.4%), 노동시간 단축(13.4%), 업무효율화 및 생산성 제고(12.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