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한명 보육·교육비로 연간 250만원 쓴다

영유아 한명 보육·교육비로 연간 250만원 쓴다

입력 2013-05-09 00:00
업데이트 2013-05-09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별활동비 추가부담 월평균 4만원…”특별활동 관리방안 필요”

영유아 1명의 보육·교육비용으로만 1년 평균 250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총 2천500가구를 대상으로 ‘2012년 보육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만0~5세 영유아 1명에게 보육·교육 비용으로 월평균 20만8천700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이는 2009년 1인당 보육·교육비용인 18만9천500원 보다 10.1%, 2004년 15만7천600원보다 32.4% 오른 수치다.

비용은 종전보다 다소 증가했지만 가구소득 대비 비율은 소폭 줄어 2009년 가구소득의 6.4%를 차지하던 보육·교육비 비중이 지난해에는 5.4%로 떨어졌다.

항목별로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보육·교육기관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해 영유아 1명이 한달 평균 16만1천700원을 기관이용비로 지출했다.

특히 사설 놀이학교 등을 보내는 경우 이용료가 월평균 82만2천300원에 달했고, 유치원은 19만3천800원, 어린이집은 8만8천800원이 들었다.

기관을 이용할 때 드는 추가 비용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영어, 체육 등 특별활동 비용이었다.

유치원에 보내는 경우 한달 평균 4만2천600원, 어린이집은 3만9천원, 반일제 이상 학원은 3만8천900원을 특별활동비로 썼다.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 10명 중 6명이 특별활동에 참여하고 있었고 평균 3.2개의 특별활동을 듣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유아 부모의 85%가 특별활동 ‘금액 상한선’, 57.8%는 ‘24개월 미만 특별활동 금지’ 등의 제한이 필요하다고 제안해 대부분 특별활동 적정관리방안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이용시간은 맞벌이의 경우 하루 평균 8시간, 외벌이는 연령별로 6~7시간으로 어린이집 운영시간인 12시간을 모두 채우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또 보육·교육기관에 들어가고 싶지만 자리가 없어 기다린 부모의 비율은 22.6%로 평균 6.4개월을 기다려 아이를 기관에 보낸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육·양육비용 지원과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보육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됐다”며 “앞으로도 보육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개선사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