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파문 국민연금에 불똥

남양유업 파문 국민연금에 불똥

입력 2013-05-10 00:00
업데이트 2013-05-10 08: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연금 보유 남양유업 투자지분 대부분 위탁운용

‘갑(甲)의 횡포’ 논란을 빚은 남양유업 파문의 불똥이 국민연금에까지 튀었다.

국민연금이 투자해 보유 중인 남양유업의 지분을 당장 내려놓아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연금기금을 굴리는 기금운용본부는 “투자는 시장논리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지 정치논리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며 선을 그었다.

10일 국민연금공단과 정치권에 따르면, 신경민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8일 서울 망원시장 상인연합회 사무실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남양유업에 투자한 국민연금의 투자철회를 요구했다.

신 최고위원은 “국민연금이 공적 기관이라면, 공공기금을 부도덕한 기업에 출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신 최고위원은 또 “이것은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정치권에서 갑작스럽게 남양유업 사태의 유탄이 날아들자 국민연금은 한편으로 당황하면서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주당 100만원이 넘는 ‘황제주’로 통한다. 국민연금이 손에 쥔 남양유업 지분은 4월말 현재 5.4%.

이 중에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직접 투자한 지분은 겨우 0.36%에 불과하다. 나머지 대부분 지분 5.04%는 외부의 위탁운용사를 통해 확보했다.

위탁사의 전문성을 믿고 투자 전권을 맡겼기 때문에 국민연금이 남양유업의 지분처리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여지는 사실상 없다. 국민연금은 다만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사태의 추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위탁사가 시장 상황에 따라 스스로 지분을 팔든지 사든지 하는 것이지, 국민연금이 매수와 매도를 지시할 순 없다는 것이다.

물론 국민연금은 기업의 대표가 엄청난 비리에 얽혀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을 때는 긴급투자위원회를 열어 문제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을 회수할 수는 있다.

하지만 남양유업 사태는 이런 범주에 드는 사안이라고 판단하기에는 미흡하다고 공단측은 보고 있다.

그런데도 정치권에서는 사회적 물의를 빚은 기업이 이슈로 등장하면 국민연금의 사회적 책임투자론을 거론하며 몰아붙이니 곤혹스러운 표정을 짓지 않을 수 없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국민연금은 전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장기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장기투자자”라면서 “남양유업 투자와 관련해서는 위탁사들이 시장변동 상황을 보면서 주주이익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잘 알아서 투자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