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2기 가동 정지] 이번엔 검증기관이 시험성적서 위조

[원전 2기 가동 정지] 이번엔 검증기관이 시험성적서 위조

입력 2013-05-29 00:00
업데이트 2013-05-2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명상 입은 원전 신뢰도

28일 가동되고 있는 원전 2기를 포함, 국내 원전 6기에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부품이 또다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국내 원전 신뢰도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이번 시험성적서 위조는 지난해 말 납품업체가 시험성적서를 위조한 사례와는 달리, 부품의 안전성을 확인해 주는 검증기관이 서류를 위조했다는 점에서 원전 안전 시스템 전체의 문제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심판이 승부조작에 직접 참여한 꼴이나 마찬가지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26일 제보를 받고 조사에 나서 제어케이블 시험성적서 위조를 확인했다. 제어케이블은 원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자로 냉각과 방사성 물질 방출 시 외부로의 격리 기능을 담당하는 안전설비에 신호를 전달하는 부품이다. 제어케이블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면 핵연료 냉각에 문제가 발생해 폭발이 일어나거나 방사성 물질의 외부 유출을 사전에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대형 사고를 막아 주는 핵심 부품으로 어떠한 상황에서도 계속 작동해야 하는 부품이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안위 등 원전 규제 및 운영기관이 시험성적서 위조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것은 국내 검증기관이 제어케이블 평가 시험 일부를 해외 기관에 의뢰한 뒤 이를 위조했기 때문이다. 국내 업체는 시험에 필요한 압력 조건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자 시험 그래프를 임의적으로 수정했다.

또 12개의 시편(시험 샘플) 중 단 3개만 합격 기준을 통과하자 불합격한 시편은 시험 과정의 문제라고 보고서를 조작했다. 전적으로 검증기관의 서류를 믿고 처리하는 원안위 측은 날벼락을 맞았다는 입장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부품의 신뢰도를 확인해주고 책임지는 검증기관이 시험성적서를 위조할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영광 1~6호기, 고리 2~4호기 등에서 발견된 시험성적서 위조 부품은 납품 업체가 시험성적서를 위조했기 때문에 실제 시험성적서 비교를 통해 곧바로 밝혀낼 수 있었다. 당시 원안위는 부품 10년치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위조된 품질검증서나 시험성적서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한수원에 납품된 원전 부품은 561개 품목, 1만 3794개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유형은 검증기관과 납품업체가 갖고 있는 시험성적서가 동일했기 때문에 제보가 없었다면 영원히 묻힐 수도 있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원전 납품 비리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부족하다”면서 “안전하다고 평가받은 부품도 다시 전수조사하고, 원전 납품 및 시스템에 대한 총체적인 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5-2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