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실현 하려면 기술금융 활성화 돼야”

“창조경제 실현 하려면 기술금융 활성화 돼야”

입력 2013-05-29 00:00
업데이트 2013-05-2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광두 국가미래硏 원장

“국내 벤처산업이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양적으로 팽창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시장이 아닌 정부 주도로 이뤄진 탓에 벤처기술의 가치를 시장이 자발적으로 평가한 경험은 부족합니다. 그게 앞으로 창조경제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브레인으로 꼽히는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은 28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기술금융이 반드시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63시티에서 열린 금융투자협회 주최 ‘2013년 제2차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창조경제와 기술금융’이라는 주제로 강의하며 이렇게 밝혔다. 기술금융이란 기술이 개발돼 사업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을 말한다.

김 원장은 “시장이 기술의 시장가치를 평가하는 기능을 키우지 못하면 내실이 튼튼하지 못한 벤처기업에 자금이 흘러들어가 좀비기업을 만들 수 있다”면서 “이는 배수구가 막힌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는 격”이라고 비유했다.

좀비기업을 막고 기술금융이 활성화되려면 기술에 대한 시장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 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진단했다. 그는 “창업투자회사가 중소·벤처기업이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에 투자하는 비중은 10%에 그치고, 대부분 이미 성장단계에 접어든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기술에 대한 시장가치가 제대로 평가되지 않아 시장이 자신감을 잃은 상태”라고 말했다. 그렇다 보니 기술금융 본연의 창업지원 기능이 크게 약화됐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국내 기술금융은 86%가량이 기술보증과 정책자금 융자 등 간접금융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혁신형 창업기업에 대한 가장 적절한 지원 방식은 벤처캐피털 등을 통한 직접투자”라고 말했다. 이어 “정책기관은 창업 초기 단계에 집중해 기업의 연구·개발(R&D)과 사업화 초기 자금을 지원하고, 민간기관은 성장단계 이후에 자본을 공급하는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5-2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