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대비 전세가 가장 높은 곳은?

아파트값 대비 전세가 가장 높은 곳은?

입력 2013-05-29 00:00
업데이트 2013-05-29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최상위는 광주 남구, 수도권선 수원 장안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가장 높은 곳은 수원시 장안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은 29일 부동산정보사이트 ‘KB부동산 알리지(www.kbreasy.com)’를 통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시·군·구 가운데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수원시 장안구로 65.1%에 달했다.

이는 전국 평균 63.5%보다 1.6%포인트, 수도권 평균 57.4%보다 7.7%포인트 높은 것이다.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경기 과천시로 42.5%에 불과했다.

서울시의 경우 아파트 평균 전세가 비율은 56.4%였다. 25개 구 가운데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성북구(63.3%)였다.

이밖에 관악구(61.4%), 서대문구(60.7%), 동작구(59.6%), 동대문구(59.5%) 등 비강남권에서 전세가 비율이 높았다.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용산구(45.7%)였으며 강남구(50.2%), 송파구(52.9%), 강동구(53.1%) 등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서울시에서 전세가 비율이 낮은 지역은 건물이 낡아 재건축을 추진하거나, 지역개발에 따른 매매가 상승 기대감이 큰 곳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도의 아파트 전세가 비율은 평균 58.4%로 조사됐다.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수원시 장안구(65.1%)였는데, 이는 소형 아파트들이 많이 분포한데다 주거여건이 우수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전세가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재건축 단지가 상대적으로 많은 과천시(42.5%)가 차지했다.

지방 5대 광역시의 전세가 비율은 평균 71.3%였다.

광주광역시가 76.7%로 가장 높았고, 부산시가 67.3%로 가장 낮았다. 구별로는 광주광역시 남구가 78.8%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세가 비율은 높다는 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주거환경 여건이 우수하다는 의미일 수 있으나, 매매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을 때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