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한은, 美 양적완화 불확실성 적극 대응”

“정부·한은, 美 양적완화 불확실성 적극 대응”

입력 2013-06-05 00:00
업데이트 2013-06-0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오석·김중수 ‘곰탕 회동’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아침 일찍 마주하고 앉았다. 딱딱한 회의실이 아니라 서울 명동의 곰탕집 ‘하동관’에서다.

선배에게 파 얹어주는 玄부총리
선배에게 파 얹어주는 玄부총리 현오석(왼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중구 명동의 하동관에서 만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곰탕에 파를 얹어주고 있다. 두 사람만의 첫 공식 회동이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두 사람은 지난 4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나 청와대 서별관회의 등에서 몇 차례 만난 적이 있다. 그러나 얼마 전 현 부총리가 따로 한번 보자고 제의하면서 조찬 모임으로 이어졌다. 이날 회동은 정부와 한은 간 정책 공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뤄져 더욱 주목받았다. 기재부 장관과 한은 총재가 으레 한 번쯤 하는 상견례 이상의 의미를 시장은 부여했다.

실제로 새 정부 출범 이후 정부와 한은은 여러 차례에 걸쳐 삐걱거리는 모양새를 보였다. 올해 경기 전망에 대해 기재부는 “이대로 두면 하반기 경기가 더 나빠진다”고 한 반면 한은은 “하반기부터 경기가 회복된다”고 했다. 정부가 한은에 기준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두 사람은 학력과 이력에서 일치하는 대목이 많다. 1947년생인 김 총재가 66세로 1950년생인 현 부총리보다 세 살 많다. 경기고·서울대도 3년 선배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도 김 총재가 4년 먼저 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박사 학위도 같다. 김 총재는 이날 상석(上席)에 해당하는 자리를 현 부총리에게 권했다. 기자들의 질문에도 “현 부총리가 답하는 게 맞다”며 양보했다.

두 수장은 언론사 사진 촬영이 끝난 뒤 약 30분간 배석자 없이 식사를 했다. 식사 중 미국 양적완화(자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하는 것)의 조기종료 가능성, 그에 따른 불확실성과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노력 등에 대해 얘기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현 부총리는 식사 후 기자들에게 “한은과 정부가 우리 경제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긴장감 있게 지켜보자는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김 총재는 “부총리가 말한 ‘긴장’이라는 표현이 중요하다”면서 “대외환경에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갈 수 있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앞으로 한 달에 한 번씩 회동을 하는 한편 기재부 제1차관과 한은 부총재가 매월 한 번 만나는 거시정책협의회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두 사람이 만난 하동관은 1939년 중구 수하동에서 문을 연 곰탕집이다. 2004년 수하동 일대 재개발로 지금 자리로 옮겼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애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최상목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부총리가 호텔 같은 곳 말고 편한 곳에서 일상적으로 만나고 싶다고 해 이곳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오정근 고려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에서는 재무부 장관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매주 한 차례 조찬 회동을 한다”며 “재정 당국과 통화 당국 간 대화와 정보 공유는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 통화 당국의 독립적인 의사결정은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3-06-05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