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철강사 경쟁력 6회 연속 세계 1위

포스코, 철강사 경쟁력 6회 연속 세계 1위

입력 2013-06-19 00:00
업데이트 2013-06-19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준양 회장, 2020년까지 글로벌 100대 기업 도약 선언

포스코가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인 WSD(World Steel Dynamics)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로 뽑혔다.

지난 2010년 이래 6회 연속 수위 자리를 지켰다.

WSD는 18,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쉐라톤 뉴욕타임스퀘어 호텔에서 세계 최대 규모 철강 콘퍼런스인 ‘제28회 철강 성공전략회의’를 열어 철강사 경쟁력 순위를 발표했다고 포스코가 전했다.

WSD는 2002년부터 매년 1∼2회 생산규모, 수익성, 기술혁신, 가격경쟁력, 재무건전성 등 23개 항목을 평가해 철강사 글로벌 경쟁력 순위를 발표해왔다.

포스코는 근로자 숙련도, 혁신기술력, 고부가제품 등에서 고득점을 올려 10점 만점에 7.73점으로 1위에 올랐다. 러시아 세베르스탈(7.46점)과 미국 뉴코(7.28점)가 2, 3위를 차지했다.

이어 NLMK(러시아), JSW스틸(인도), 게르다우(브라질), 신일본제철-스미토모금속공업(일본)이 4∼7위로 뒤를 이었다.

조강 생산량 세계 1위 아르셀로미탈(인도)은 26위에 그쳤고, 생산량 3·4위인 허베이·바오산강철(중국)은 순위권(34개사) 밖으로 밀렸다.

경쟁력 순위 발표 후 특별연사로 나선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30여분에 걸쳐 포스코의 글로벌 1위 비결을 영어로 소개했다.

정 회장은 “세계 최초 파이넥스 공법 개발 등 월드퍼스트 제품을 완성하고 마그네슘·리튬·페로실리콘 등 종합소재와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해 2020년까지 글로벌 100대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전세계 주요 30개 철강사의 영업이익률이 2007년 13%대에서 최근 1∼2%대로 추락했는데도 포스코가 작년 7.8%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것은 기존의 가격경쟁에서 ‘스마트 포스코’ 등 가치혁신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자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