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960조…저소득ㆍ고령층이 ‘뇌관’

가계부채 960조…저소득ㆍ고령층이 ‘뇌관’

입력 2013-07-03 00:00
업데이트 2013-07-03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DP대비 90%…OECD평균보다 15%p 높아…2금융권 위험 가능성

가계부채 규모가 1천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ㆍ고령층이 거래하는 2금융권의 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당국에 따르면 가계부채 규모는 올해 3월 말 현재 961조6천억원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가까이로 늘어난 셈이다.

1999∼2012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1.7%로,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7.3%, 가계의 가처분소득 5.7% 증가율보다 훨씬 높다.

국제적으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소 많은 편에 속한다.

2011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89.2%까지 올랐다. OECD 평균 74.5%를 15%포인트가량 웃도는 수치다. OECD 28개국 중에서는 10위다.

영국이나 미국은 각각 100.8%, 89.9%로 한국보다 높지만, 일본은 82.1%로 한국보다 낮다.

2011년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는 163.7%로 OECD 평균 136.5%보다 약 27%포인트 높다. 28개국 중에는 7위다. 미국은 119.6%, 영국 159.6%, 일본 131.6%다.

2011년 기준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한국이 48.0%로 미국 26.5%, 영국 35.5%, 일본 24.5%보다 높다.

다만, 가계 총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같은 시점 기준 10.9%로 미국 19.9%, 영국 17.4%, 일본 14.8%보다 낮다. 이는 가계 채무상환능력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는 것을 뜻한다.

가계부채는 963조8천억원을 찍은 지난해 말 이후 다소 줄어들었지만, ‘질적 구조’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저소득·고령층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높은 점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된다.

올해 3월 현재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가 184%로 2분위(122%), 3분위(130%), 4분위(157%)를 앞지른다.

연령별로는 20대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88%인데 비해 30대는 152%, 40대는 178%, 50대는 207%, 60대 이상은 253%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

여러 금융기관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가 322만명으로 추산되는 점, 주택시장의 부진으로 주택담보대출 상환능력이 하락한 하우스푸어(내집빈곤층)가 9만8천명(금융연구원 추산)에 달하는 점도 가계부채 구조의 취약점으로 꼽힌다.

정부는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으나 취약계층이나 제2금융권 등으로 전이될 위험은 일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가계대출 중 비은행대출 비중은 2008년 43.2%에서 올해 3월 말 49.1%로 늘었다.

정부는 과도한 부채 부담이 경기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