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카드사들 ‘하이브리드 카드’ 딜레마

[경제 블로그] 카드사들 ‘하이브리드 카드’ 딜레마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득공제를 위해 체크카드를 쓰자는 남편과 할인을 받기 위해 신용카드를 쓰자는 아내의 대치 현장입니다.”

한 카드사의 TV 광고 문구입니다.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하이브리드 카드’를 설명한 것인데요, 체크카드에 소액 신용결제 기능을 더한 것이 하이브리드 카드입니다. 지난 3일 삼성카드가 하이브리드 카드를 내놓으면서 국내 카드사 모두 하이브리드 카드를 갖추게 됐습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을 펴왔습니다. 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은 30%로 그대로 두는 대신,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은 20%에서 15%로 낮췄죠. 체크카드가 과소비도 막고 소득공제도 많이 받을 수 있다지만 통장에 잔고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여기서 착안한 게 바로 하이브리드 카드입니다. 체크카드 한도를 다 쓰고도 30만원가량을 신용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사들은 하이브리드 카드를 내놓을 때만 해도 신용 결제로 이어져 조금이나마 수익에 도움이 될 것을 바랐습니다. 그렇게 되면 금융당국 방침에도 부응하고, 수익도 창출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상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하이브리드 카드의 소액 신용결제 금액은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올 초 하이브리드 카드를 내놓은 신한카드의 경우 신용결제 평균 금액이 월 10만원 미만이라고 합니다. 다른 카드사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결국 카드사 입장에서는 체크카드와 다를 것이 없는 거죠.

그런데도 카드사들이 계속 하이브리드 카드를 내놓는 것은 금융 당국의 압박과 소비자의 변화 때문입니다. 국내 대표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용평가정보와 코리아크레딧뷰로가 이달부터 체크카드 이용실적을 개인신용 평가 항목에 포함시킨다고 합니다. 이제 체크카드를 써도 신용등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거죠. 올 상반기 하이브리드 카드 발급은 150만장을 돌파했습니다. 이 속도대로라면 올해 안에 250만장을 돌파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수익 창출을 위해 고심하는 카드 업계가 어떤 묘수를 들고 나올지 주목됩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7-09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