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이르면 내년 비은행권 국제규제 출범”

김중수 “이르면 내년 비은행권 국제규제 출범”

입력 2013-07-16 00:00
업데이트 2013-07-16 09: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이르면 내년 비은행권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 국제규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16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비은행금융기관 최고경영자와 조찬협의회에서 “한은과 금융위가 참여한 금융안정위원회(FSB)가 내년 정도까진 비은행권에 대한 글로벌 (건전성) 규제를 만들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FSB란 주요 20개국(G20)의 금융감독당국이 모여 글로벌 금융규제 개혁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G20는 지난 2010년 서울 정상회담에서 금융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FSB에 은행과 비은행권에 대한 규제마련을 주문했다.

여기서 나온 은행권에 대한 규제인 ‘바젤Ⅲ’는 한국엔 올해 12월부터, 미국도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김 총재는 “비은행권에 대한 규제도 유동성 부분은 지난해 안이 제출됐다”며 “내년 증권대여, 환매조건부매매(Repo)등에 대한 안까지 해 국제규제가 나온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규제가 선진국-신흥국 구분없이 무분별하게 적용될 경우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위기가 났기 때문에 규칙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선진국과 아시아는 금융의 발전 정도도 다르고 제도 역시 다르다”며 “(규제가 일괄적용되면 신흥국에선) 자칫 금융접근성이 높지 않은 금융소외계층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협의회엔 박근희 삼성생명 대표, 신용길 교보생명 사장, 김기범 KDB대우증권 대표, 유상호 한국투자증권 대표, 이재우 신한카드 대표, 정태영 현대캐피탈 대표, 김정식 농협 상호금융 대표가 참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