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덫… 한국 휴대전화 가장 비싸

스마트폰의 덫… 한국 휴대전화 가장 비싸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매 판매가 415달러로 1위…세계 평균 166달러의 2.5배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휴대전화 평균 판매가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미국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휴대전화 평균 판매가(ASP·Average Selling Price)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415달러(약 46만 1000원)였다. 전 세계 평균인 166달러(약 18만 5000원)보다 2.5배나 높았다. 2위는 390달러를 기록한 일본이었고 캐나다(350달러), 미국(323달러), 노르웨이(281달러), 덴마크·독일(이상 278달러), 룩셈부르크·스웨덴(이상 275달러), 호주(270달러)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25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서유럽 260달러, 중·동부유럽 142달러 순이었다. ASP는 도매가 기준의 평균 판매가격이다. 따라서 ASP가 높다는 것이 개별 제품의 판매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높다는 뜻은 아니다.

보고서는 한국의 ASP가 높은 것은 전체 휴대전화 판매량 중 스마트폰 비중이 높고 얼리 어댑터(Early Adopter·남들보다 신제품을 먼저 써보는 사람)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휴대전화 중 190달러 이하 중·저가 제품은 전체의 1%에 불과했다. 반면 3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2.3%나 됐다. 나머지 26.7%는 191~299달러 수준의 고가 제품이었다. 보고서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전략 제품을 한국에 먼저 선보여 얼리어댑터들이 이들 제품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볼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 휴대전화 평균가격의 고공 행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휴대전화 ASP는 2013년 452달러, 2014년 419달러, 2015년 415달러, 2016년 411달러, 2017년 416달러 등으로 계속 400달러 이상을 유지할 전망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7-30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