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노인 일자리 해마다 5만개씩 창출”

복지부 “노인 일자리 해마다 5만개씩 창출”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16: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보수도 2배로 증액·노인 일자리 정보창구 및 콜센터 운영

정부는 노인 일자리를 매년 5만개씩 확충하기로 했다.

갈수록 늘어나는 노인 수요에 맞추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올해 2천284억원을 포함해 2017년까지 필요한 1조3천억원을 확보하는데 힘쓰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노인 일자리 종합계획안을 30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사회보장위원회에서 발표했다.

계획안을 보면 정부는 공공과 민간을 통틀어 노인 일자리를 현재의 23만개에서 2017년까지 43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노인 일자리 참여로 받는 참여보수도 현재의 월 20만원에서 2017년 월 30~40만원으로 두 배로 높이고, 참여기간도 지금의 9개월에서 2017년 10~12개월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노인 일자리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도 기존의 복지관·노인회 등 비영리기관에서 벗어나 노인 친화적이고 재정적으로 건실한 사회적 기업, 고령자친화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등으로 넓히기로 했다.

현재 낮은 보수와 과중한 업무로 열악한 근로상황에 놓여있는 노인 일자리 사업 전담인력의 월 보수를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처우도 개선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역별, 유형별로 노인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노인인력개발원에 노인 일자리 정보창구를 개설하고 콜센터를 운영해 2014년 중으로 노인 일자리 검색에서 연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현재 극장이나 편의점 등 민간기업에 한정된 시니어 인턴십(3개월 인턴 기간 현장훈련을 거쳐 해당 기업·기관에 취업 연결하는 제도)을 공공기관으로 확대해 노인 취업 기회를 끌어올리고, 전문직 퇴직 노인이 경력의 단절 없이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니어 직능클럽을 설립해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복지부 최영호 노인지원과장은 “급격한 인구 고령화 속에서 발생하는 빈곤, 질병, 고독, 소외, 역할상실 등 노인문제를 해결하는 최고의 정책은 노인 일자리 창출”이라며 “지역사회에서 봉사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노인들이 활력있는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2011년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45.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인 13.5$보다 3.3배나 높다.그럼에도 연금제도의 역사가 짧아 노후생활자금이 필요한 노인들이 일자리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는 높지만 시장 여건은 미흡한 실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