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로 나온 우리금융, 제값 받을 수 있을까

매물로 나온 우리금융, 제값 받을 수 있을까

입력 2013-07-31 00:00
업데이트 2013-07-31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 이상 끌어온 우리금융그룹 민영화 작업이 본격화함에 따라 공적자금 회수 규모를 계산하는 정부의 손놀림도 바빠지고 있다.

몸값이 5조원을 넘어서는 우리금융을 얼마나 만족스러운 가격에 파는지가 공적자금 회수 성적표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금융 주가가 1만1천원 안팎으로 떨어진데다 일부 비인기 계열사 때문에 경영권 프리미엄도 떨어질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의 경우 원금 회수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공적자금 169조원 지원에 105조원 회수

31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002년까지 부실 금융기관 정리를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공적자금Ⅰ)은 모두 168조7천억원이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투입한 구조조정기금(공적자금Ⅱ)을 제외한 수치다.

업권별로는 은행부문에 출자금 23조원과 출연금 13조9천억원을 비롯해 86조9천억원이 들어갔다.

증권과 투신사에 출자금 10조9천억원과 부실채권매입대금 8조5천억원 등 21조9천억원이 투입됐고, 보험사에도 출자금 15조9천억원과 출연금 3조1천억원 등 21조2천억원이 들어갔다.

정부는 올해 1분기까지 105조4천억원을 회수했다.

이 가운데 예금보험공사와 정부의 출자금 회수가 23조8천억원, 부실채권 매각과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한 부실채권매입대금 회수가 46조1천억원이다.

예보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회사나 퇴출 금융회사, 공적자금 투입 원인을 만든 채무기업의 부실원인을 조사하고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해 3천903억원을 회수하기도 했다.

공적자금 회수율은 62.5% 가량이다.

여기에 정부 지분만 5조원을 넘는 공룡 매물인 우리금융이 새 주인을 찾고 대우조선 매각까지 성사된다면 정부의 공적자금 회수 비율은 60%대 후반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예보 또한 은닉재산 추적에 적극적으로 나서 27%가량인 부실책임 집행금액 비율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우리금융 매각, 흥행+5조4천억원 이상 가능할까

정부가 우리금융에 쏟아부은 출자금은 9조4천422억원, 회수한 금액은 4조8천883억원이다.

예보가 가진 우리금융 지분은 전체의 56.97%, 약 4억5천900만주다. 지난해 마지막 주식시장 개장일(12월 28일) 종가인 1만1천8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정부 지분은 5조4천185억원 가량이다.

우리금융을 매각해 5조4천억원 이상을 거둬들인다면 산술적으로는 출자금 이상의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10년 이상을 끌어온 민영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최고가격 매각 원칙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목표까지 이루기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우리금융 매각이 ‘흥행’과 ‘만족할만한 가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먼저 이달 15일 매각공고가 나온 지방은행은 금융당국의 독려 속에 지방 금융지주사는 물론 하나금융 등 대형 금융지주사까지 관심을 표명하고 나섰다. 표면적으로는 매각이 수월해 보인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사정은 복잡하다.

금융당국 관계자들은 경남은행의 경우 부산은행 중심의 BS금융지주와 대구은행 중심의 DGB금융지주가 치열한 인수전을 벌이며 지역감정까지 부딪히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잡음’이 생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최고가 입찰 원칙을 수차례 강조한 것에는 이런 점도 한몫을 했다는 게 금융권 관계자들의 해석이다.

광주은행도 지역 상공인들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의 지방은행 인수가 현실화하면 자칫 ‘자리 나눠먹기’식 인사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순익이 반토막 난 대형 금융지주사들은 ‘매물이 나왔으니 들여다본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유지할 뿐 몇몇 금융사가 우리투자증권 인수전에 뛰어들 채비를 하는 것처럼 공격적으로 손을 뻗지는 않고 있다.

여기에 가장 덩치가 큰 우리은행 또한 교보생명이 관심을 표하고 있지만 급변하는 금융환경 변화 속에 내년까지 적극적인 태도가 유지될지, 혹은 정부가 원하는 만큼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우리금융 주가가 주당 1만7천원 선까지 올라가야 정부가 쏟아부은 공적자금 원금과 예보채 이자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 우리은행 매각가를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시장 수요를 최대한 반영해서 분리매각을 하는 만큼 공적자금 극대화라는 민영화 원칙도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