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습기에 방치된 가전제품 관리법

장마철 습기에 방치된 가전제품 관리법

입력 2013-08-09 00:00
업데이트 2013-08-09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마가 끝난 다음에도 제습기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제습기는 꿉꿉한 공기를 빨아들여 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헝겊이나 천으로 제습기 구석구석을 닦아주고 주 2회 이상 물통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다.

필터를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흐르는 물이나 중성세제를 녹인 물로 세척 후 그늘에 건조시킨다.

◇ 에어컨 필터 청소로 전기료 절약 = 제습기가 없는 가정에서는 제습기 대신에 에어컨을 사용해야 한다. 에어컨을 매일 사용한다면 최소 열흘에 한 번씩은 필터 청소를 해야 한다.

필터에 곰팡이 제거제를 충분히 뿌리고 30분 후에 미지근한 물로 세척하고 그늘에 말려주면 된다. 에어컨 필터를 씻어주는 것만으로도 약 5% 정도의 절전효과를 볼 수 있으니 가족건강도 챙기고 전기료도 절약할 수 있다.

◇ 세탁기 속 곰팡이까지 깨끗하게 = 세탁이 끝난 후 항상 세탁기 뚜껑을 열어 놓아 세탁 후 남은 물기와 습기를 건조시켜야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다.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고 오래 방치할 경우에는 내부 부품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 정해놓은 기간만큼 사용해 본체의 열로 내부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세탁기의 세탁조는 촉촉한 물기와 섬유찌꺼기 등으로 인해 습기가 차기 쉬워 곰팡이와 세균이 살기좋은 장소이므로 살균소독이 필요하다.

◇ 기타 가전제품도 습기·열기 조절 = 가전제품은 대부분 기기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작동 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부품에 손상을 주면서 고장이 일어난다.

때문에 TV·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벽과 기기 사이의 공간에 열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10cm 가량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빗물이 들이칠 수 있는 창가에 기기를 배치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