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푹 자고 싶어요’…수면장애 환자 4년새 1.6배로

‘푹 자고 싶어요’…수면장애 환자 4년새 1.6배로

입력 2013-08-18 00:00
업데이트 2013-08-18 1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이 남성의 1.5배…규칙적 생활·카페인 자제가 도움

잠을 충분히 깊게, 많이 자지 못하는 ‘수면장애’ 환자가 최근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통계에 따르면 ‘수면장애(질병코드 G47)’로 병원을 찾은 전체 환자는 2008년 22만8천명에서 2012년 35만7천명으로 1.57배 늘었다. 473명 수준이던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4년 새 1.52배인 719명으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관련 진료비와 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한 급여 역시 1.81배(195억→353억원), 1.83배(137억→250억원)로 각각 불었다.

지난해 기준 여성 환자가 21만2천명으로 남성(14만5천명)의 1.46배였다. 연령별로는 50대가 7만5천명(2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대(19.1%)·60대(17.2%)·40대(15.2%) 등의 순으로 전반적으로 중고령층이 수면장애를 많이 호소했다.

상대적 비중은 작지만 20대 2만1천864명(6.1%), 10대 이하 5천140명(1.4%) 등 젊은 환자들도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해 병원을 찾았다.

수면장애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면,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불면증’ 환자가 23만7천931명(66.7%)으로 가장 많았다.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세불명 수면장애’(8만4천287명), 수면 중 상기도가 막히는 ‘수면성 무호흡’(2만6천168명) 등이 뒤를 이었다.

불면증은 주로 50~70대에서, 수면성 무호흡은 30~50대에서 흔했다. 수면-각성 주기 혼란으로 갑자기 참을 수 없는 졸음, 웃거나 화낼 때 일시적으로 근육 힘이 빠지는 허탈 발작, 잠들거나 깰 때 보이는 환각 등을 겪는 과다수면증이나 기면증의 경우 비교적 젊은 10~30대 환자가 많았다.

신수정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노년기에 이르면 뇌의 대사와 구조에 변화가 생겨 수면 리듬도 바뀌고, 이 때문에 수면 장애를 겪게 된다”며 나이와 수면장애가 비례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신 교수는 “규칙적 생활과 식습관, 적당한 운동, 금연, 금주 등으로 수면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며 “특히 낮잠을 30분 이상 자지 않고, 잠자리에 들기 전 4~6시간 사이에는 커피·녹차 등 카페인 음료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