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비용 막대… 中企 감당 어려워 ‘대기업 특혜’ 우려

투자비용 막대… 中企 감당 어려워 ‘대기업 특혜’ 우려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실효성

정부가 18일 내놓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을 한 문장으로 줄이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아낀다는 것이다. 취지는 좋지만 비용이 문제다. 투자비용이 막대해 중소기업이 도입하기 어렵고, 들인 돈만큼 경제적 효과를 뽑으려면 10년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것이 걸림돌이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리튬이온 2차 전지를 활용한다. 전기요금이 싼 심야시간에 전력을 저장한 뒤 요금이 가장 비싼 낮에 꺼내 쓸 수 있다. 경기 용인시 기흥 사옥에 1㎿급 ESS를 실증 운용하고 있는 삼성SDI는 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구축하는 데 약 16억원을 투자했다. 이 설비로 연간 1억 2700만원의 전기요금을 아낀다. 12~13년은 지나야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업계는 ESS 시스템의 효용을 인정하면서도 경제성이 부족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ESS 도입이 활성화하려면 기술개발을 통해 2차 전지의 성능을 높이고 원가를 절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비 회수 기간을 최소 6~7년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중소·중견 기업들은 ESS·EMS 도입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투자 여력이 없다며 난감해하고 있다. ‘대기업 특혜’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정부는 중소·중견 기업의 초기 투자 부담을 덜어주고자 EMS 구축 비용을 최대 50%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또 기업들이 에너지절약시설 설치 융자금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EMS 구축을 신청하면 자금추천 평가 시 가점을 기존 2점에서 10점으로 올리기로 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08-1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