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미래 성장엔진을 찾아라] ‘금융 노마디즘’ 정신으로 해외시장 개척 앞장

[금융산업 미래 성장엔진을 찾아라] ‘금융 노마디즘’ 정신으로 해외시장 개척 앞장

입력 2013-09-09 00:00
업데이트 2013-09-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태 회장은 누구

‘노마디즘’(Nomadism·유목주의). 어떤 한 가지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찾아 떠나려는 상태를 의미한다. 김정태(61)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금융 노마디즘을 자처한다. 중국에서 미국, 또 세계 각국으로 새로운 먹거리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김 회장이 하나은행장이었던 2008년 8월 13일, 하나은행은 중국 길림은행 지분 19.7%(약 3192억원)를 사들였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때인 만큼 일각에선 우려를 나타냈지만 하나은행은 길림은행의 최대주주가 됐다. 이 투자는 지금까지도 하나금융의 단일 해외투자 중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된다.

결과는 어땠을까. 2008년 당시 857억 위안이었던 길림은행의 총 자산은 지난해 2157억 위안으로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8억 5500만 위안에서 26억 7800만 위안으로 껑충 뛰었다. 투자 4년 만에 자산과 이익이 3배가량 뛴 것이다. 길림은행의 가치와 성장성을 보고 개방 시기를 놓치지 않고 투자한 것이 유효했다는 평가다.

김 회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길림은행 지분투자로부터 5년 후인 2013년 8월 14일, 하나금융은 BNB 지주회사 인수에 대한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의 승인을 받았다. 중국에 안주하지 않고 먹거리를 찾아 미국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방식도 여타 한국계 은행과 다르다. 현지법인을 설립해 진출하거나 지점 설립을 통해 기업금융을 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국 현지 소매 시장을 공략했다. 하나금융의 해외시장 개척에는 김 회장의 노마디즘적 생각과 선택이 중요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김 회장은 회사 내부적으로는 ‘즐거운 직장’을 강조한다. 집무실 팻말에 이니셜인 ‘JT’를 본떠 ‘Joy Together’를 적어 놓을 정도다. 실제로 지난해 9월엔 임직원들의 소통을 위해 ‘댄스 페스티벌’을 개최해 김 회장이 직접 개그콘서트 ‘감사합니다’ 코너를 패러디해 화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09-09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