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로 혼자 사는 노인가구 증가…자녀와 연락도 뜸해

월세로 혼자 사는 노인가구 증가…자녀와 연락도 뜸해

입력 2013-09-12 00:00
업데이트 2013-09-12 07: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경아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 연구보고서

월세에서 혼자 살면서 자녀와도 거의 연락을 하지 않는 노인가구가 최근 증가하는 등 노인의 노후생활이 더 열악해졌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김경아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12일 ‘연금포럼’ 2013년 여름호에 발표한 ‘노인실태조사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노후생활 현황을 중심으로’란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08년과 2011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노인 독신가구의 비중이 2008년 23%에서 2011년에 25.09%로 느는 등 점진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노인 부부가구도 2008년 43.93%에서 2011년 45.38%로 늘었다. 반면, 자녀동거 노인가구는 2008년 28.13%에서 2011년 25.25%로 줄었다.

2008년과 2011년의 거주 주택유형을 보면 자가주택(77.72%→73.25%)과 전세(7.12%→5.34%)는 감소했지만, 월세는 6.78%에서 8.16%로, 기타유형의 거주형태도 8.38%에서 13.26%로 증가하는 등 최근 노인가구의 거주환경이 취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 교류를 보면, 노인들이 같이 살지 않는 자녀와 연락하는 횟수는 2008년에 견줘 2011년에 급격히 줄어들었다. ‘1주일에 두세 번 정도 연락’과 ‘거의 매일 연락’은 2008년 27.47%와 22.80%에서 2011년 2.36%와 0.97%로 급감했다.

이에 반해 2008년 0.57%에 불과하던 ‘거의 연락하지 않음’이 2011년에는 22.34%로 급증했다. 또 ‘1년에 한두 번 정도 연락’과 ‘3개월에 한두 번 정도 연락’도 2008년 1.40%와 2.85%에서 2011년 32.78%와 24.92%로 폭증했다.

같이 살지 않는 자녀로부터 받는 경제적 지원은 2008년에 비해 2011년에 현물지원의 비중이 많이 증가했다.

노후생활을 영위해나가는 데 필요한 노후소득은 공적연금제도의 성숙에도 여전히 많은 노인이 공적지원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 노후소비를 적절하게 해나갈 만한 소득수준까지는 갖추지 못했다.

우리나라 노인의 걱정·고민사항과 노후생활 만족도를 조사해보니, 자신의 건강상태와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 가장 많이 걱정하고 고민하면서 불만 역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이번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노인이 사회의 경제적 지원과 의료서비스 및 노인부양서비스 확대를 시급하게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