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 비교 위해 공개한다더니… 더 헷갈리는 보험료지수

보험료 비교 위해 공개한다더니… 더 헷갈리는 보험료지수

입력 2013-09-25 00:00
업데이트 2013-09-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업비 포함돼 비교 어려워, 수치도 100% 넘어 혼란만

금융당국과 보험협회가 국민의 알 권리 보장 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험료지수’가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AIA생명의 ‘바로가입YES정기보험’(무배당)의 보험료지수는 973.6%다. 얼핏 보면 평균 보험료(100%)보다 9.7배 비싸다고 이해되기 쉽다. 그러나 실제 의미는 이와 다르다. 보험료지수는 순보험료와 사업비 등을 종합해 산출하는 값이다. 하지만 개별 업체의 사업비와 순보험료가 따로 공시되는 것이 아닌 데다 개념 또한 워낙 복잡해 소비자들 입장에서 이를 비교해 상품 선택에 반영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해약환급금의 비교도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KB생명의 ‘KB정기보험’과 교보생명의 ‘교보하나로정기보험’은 보험료지수가 각각 168.2%와 124.3%다. 보험료는 교보생명이 싸다. 하지만 사업비가 보험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해지환급금은 비교하기가 어렵다.

또 부가 조건에 따라 업계 평균 보험료가 다르게 적용돼 공정성도 떨어진다. 삼성생명의 사망보험인 ‘다이렉트 정기보험 만기환급형’의 보험료지수는 127.8%다. 같은 회사의 ‘퍼팩트통합보험3.0’(중대질병 보장보험)과 보험료지수(124.9%)는 비슷하지만 보험료 금액 자체가 그렇다는 의미는 아니다. 종목별 평균 보험료가 달라 비교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 금융 연구기관 관계자는 “순보험료는 순보험료대로, 사업비는 사업비대로 지수화하면 될 일을 금융당국이 협회나 보험사 입장을 너무 많이 반영해 공시 취지에 맞지 않게 암호 같은 보험료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기욱 금융소비자연맹 보험국장은 “금융당국이 소비자에게 최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정보 활용은 소비자의 몫”이라면서 “알아보기 어려운 수치만 공개하는 것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 담당자는 “소비자들이 직접 내는 금액인 영업보험료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도(순보험료)와 사업비”라면서 “순보험료와 사업비를 구분하지 않고 영업보험료만 공개해도 소비자는 자신이 내는 보험료가 싼지 비싼지를 알 수 있다”고 해명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9-25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